한국노총에 이어 경총도 회장 선임건을 마무리지으면서 주5일근무제 도입논의가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철도·가스·발전 3사노조의 25일 공동파업 등 현안에 노동계가 집중하고 있어, 시간적으로 2월 임시국회에 법안 상정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지난해 12월 중순 이후 2개월동안 중단돼온 주5일근무제 논의는 지난 7일 한국노총 위원장 선거, 그리고 이날 경총 회장 선임이 마무리됨에 따라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돼왔다. 그동안 노사정위는 "경총 회장선임이 마무리되면 논의가 시작되지 않겠냐"며 "이번주 중 논의가 시작돼도 된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전망해왔던 것.

그러나 3사 공동파업을 앞둔 현재 2월내 노사정합의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국노총은 우선 3사 파업투쟁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21일 이남순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한국노총은 대화에 적극 임할 계획이지만 정부와 사용자의 논의에 진전이 없는 것 같다"며 "전향·발전적 안이 나오면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또 김성태 사무총장도 이와 관련 "한국노총은 여러각도에서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까지는 모일간지 보도와 같은 논의는 없었으며 당장 협상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인식은 약간의 시각차가 있지만 정부와 재계도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방용석 노동부장관은 이날 오전 대한상의에서 주최한 조찬간담회에서 "일정상 이번 국회에서 어렵더라도 합의도출만 되면 향후 국회 처리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2월 임시국회 제출이 어려울 수도 있음을 조심스럽게 내비쳤다. 또한 경총도 이날 김창성 회장이 "지난해 12월말보다 노사간 의견차가 더 벌어진 것 같다"고 밝혀 2월내 노사간 입장조율이 만만치 않을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조남홍 부회장은 "반드시 노사합의를 통해 국회에 제출돼야 한다"며 "일단은 2월 임시국회 상정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혀 시간이 다소 소요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에 따라 주5일근무제 논의를 놓고 노사정이 2월말 막판타결에 나설지, 아니면 2월을 넘어갈지가 최대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