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금융노사 산별중앙교섭이 교착상태에 빠졌다.
금융노조(위원장 박홍배)와 은행연합회(회장 김광수)는 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4차 대표단교섭을 진행했으나 별다른 소득 없이 끝났다. 노조의 14개 요구안 중 임금인상률 3.5%와 사회공헌활동 재원 마련 등 핵심 쟁점에 사측이 수용불가 방침을 고수하면서 공회전 중이다.
노조가 제시한 임금인상률은 정규직 3.5%, 저임금직군 7%다. 그동안 물가상승률에 경제성장률을 더해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는데, 이번엔 물가상승률만 반영했다. 올해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고통 분담과 금융권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 차원에서 사실상 임금 동결안을 내놨다는 게 노조 설명이다.
반면 사측은 임금인상률 1.3%에서 물러서지 않고 있다. 지난 6월9일 3차 대표단교섭에서 기존 1%를 1.3%로 올린 수정안을 낸 뒤 강경한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대내외적 경기 불확실성을 이유로 든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지난 1분기 은행권 영업실적이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올린 지난해보다도 증가한 점, 자산건정성과 자본비율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할 때 2년 연속 물가상승률에 못 미치는 임금인상률을 제시하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노사 사회공헌활동 재원 마련도 중단될 위기다. 노사는 2012년부터 공동기금을 출연해 일자리 창출 및 청년실업 해소, 저출산 문제 경감, 취약계층 지원 등 사회공헌사업을 벌여왔다. 노조는 이번 교섭에서 노사 각각 총액임금의 1.6%(3천200억원)를 출연해 사회공헌 기금을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경제성장률 1.6%를 임금인상률에 반영하지 않는 대신 사측이 노조 몫의 기금을 출연하라는 요구다.
하지만 사측은 사회공헌 기금 마련 자체를 중단하자는 입장이다. 금융노조 관계자는 “기존 사업은 그대로 진행하되 더는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지 말자는 게 사측 입장”이라고 전했다. 노조가 지난달 29일 임원급교섭에서 전태일의료센터 건립 기금 지원과 금융권 도급 콜센터 심리상담 지원 등 구체적인 공익 사업을 제안했으나 사측은 같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노조는 이를 비롯해 △주 4.5일제 △본·지점 및 영업점포 이전 폐쇄 대응방안 마련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확대 △중식시간 공동사용 △영업·근무시간 다변화 △간접고용 노동자 직고용 전환 등 14개 요구안을 제시한 상황이다. 그동안 14개 요구안 모두 수용불가 입장을 고수하던 사측은 이날 대표단교섭에서 임금인상률과 사회기금 마련 등을 제외한 일부 안에 대해 수정안을 마련해 왔다. 하지만 노조는 ‘미흡한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