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금융산업 산별중앙교섭은 코로나19 시기 억눌렀던 임금인상과 사회연대기금 조성, 주 4.5일제 도입 문제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금융노조는 “지난해에 했던 산별노조 총파업은 올해도 가능하다”며 벼르고 있다.
금융 노사는 12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산별중앙교섭 상견례를 했다.
금융노조(위원장 박홍배)는 상견례에 앞서 은행회관빌딩 로비에서 2023년 임단투 출정식 및 결의대회를 열고 “노조의 합리적 요구안을 사용자가 수용하지 않으면 단체행동권 실행으로 권리를 쟁취하겠다”고 선언했다.
금융산업 노사는 은행점포 영업시간 조정 문제를 두고 올해 초 조성된 긴장관계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영업시간 연장 요구를 사용자측이 노조와 상의 없이 수용한 것이 발단이 됐다.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사무총장이 지난해 하반기 교체되고, 최근 신한금융지주·우리금융지주 회장이 물러나면서 대화 상대방인 사용자측 인물들이 교체된 점도 갈등 해소를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산별중앙교섭 대표단 회의와 지부대표자회의를 잇따라 열고 중앙교섭 의제를 점검했다. 노조 요구안을 중심으로 노사관계를 재형성한다는 방향을 정했다. 요구안을 강하게 밀어붙이겠다는 의미다.
임금인상은 물가상승률 수준을 요구할 예정이다. 한국은행이 내놓은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3.5%다. 저임금직군은 물가상승률의 두 배를 요구한다. 일터 내 임금격차를 축소하기 위해서다. 노조는 임금인상 요구안이 과도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 임금협약 등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임금인상률을 의미하는 우리나라 전체 협약임금 인상률은 2020년 3.9%, 2021년 3.0%, 2021년 3.6%다. 금융 노사가 맺은 인상률은 2020년 1.8%, 2021년 2.4%, 2022년 3.0%에 그쳐 전산업 평균을 밑돈다.
노조는 금융소비자와 사회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재원을 조성하자는 제안도 건넨다. 금융 노사는 2020년 체결한 단체교섭에서 임금인상률을 1.8%로 정하고, 노사 각각 인상분의 0.9%에 해당하는 금액을 내놓아 용역·파견노동자 노동조건 개선 사업에 활용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금융산업 내 노동시장 이중구소를 해소하고 중간착취를 방지하기 위해 콜센터·미화·안전업무 종사자의 직접고용도 요구하기로 했다. 주 4.5일제(주 36시간제) 도입을 요구하며 노동시간 단축을 주도할 계획이다. 노조는 총파업도 준비한다. 박홍배 위원장은 이날 대회사에서 “우리 교섭은 반노동 보수정권의 무차별 탄압과 그에 동조하는 일부 세력에 의해 조성된 사회 분위기 때문에 험난할 것”이라며 “합리적인 노조 요구안을 수용하지 않으면 단체행동권 실현에 나설 것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