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찰이 14일 서울 마포구 건설노조 수도권북부지역본부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마치고 건물을 나서고 있다. <정기훈 기자>

건설 노조의 조합원 채용, 전임자 임금지급 요구에 대한 정부의 강경대응 수위가 높아지는 가운데 경찰이 14일 건설노조 압수수색을 이어 갔다.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단 강력범죄수사대는 이날 오전 8시30분부터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 있는 건설노조 수도권북부지역본부 사무실을 포함 3곳을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김 아무개 건설노조 수도권북부지역본부장고과 문 아무개 서울경기북부건설지부 사무국장 자택도 압수수색해 휴대폰을 확보했다. 현장에 있던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수도권북부지역본부에만 수사관 50명과 기동대 300명이 투입됐다”고 밝혔다.

이번 압수수색은 수도권북부본부 산하인 서울경기북부건설지부 서남지대장 우모씨 등 제명된 전직 간부 3명에 대한 수사다. 이들은 2020년 8월부터 지난해 6월까지 건설현장 16곳에서 조합원 채용 요구와 노조 전임비 명목으로 금품을 요구한 혐의를 받고 있다. 민주노총은 지난해 11월에 개인비리가 있다며 이들을 제명한 바 있다. 경찰은 상급 조직인 수도권북부본부의 지시·공모 관계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무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는 압수수색이 진행되는 중에 본부에서 긴급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건설노조 수도권북부본부는 민주노총 서울본부 건물에 입주해 있다.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본부장은 “이곳에 근무하는 사람은 본부장을 포함해 3명인데 경찰차 15대를 동원한 건 언론플레이”라며 “노조 때리기를 통해 지지율을 올리려는 ‘윤폭’이 진짜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희영 건설노조 수도권북부본부 사무국장은 “건설사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해도 제대로 된 처벌을 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완화하고 있다”며 “그러면서 건설노조가 조합원 고용을 요구하는 활동을 공갈과 협박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압수수색은 약 4시간 동안 진행돼 오후 12시20분께 종료됐다. 경찰이 압수수색한 물품은 연번으로 13개다. 탁상달력, 회의자료, 2022 건설노조 사업보고, 2023년 28년차 정기 대의원대회(보고자료) 등이다. 컴퓨터 파일은 가져가지 않았다고 노조측은 전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