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방선거에서 울산지역의 노동계 후보가 울산지역 민주노총 조합원들과 민주노동당원들의 합동총회에서 선출될 것으로 보여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민주노동당 울산시지부(지부장 김창현)는 22일 오후 운영위원회를 열어 지난 21일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제안한 조합원 총투표에 의한 후보단일화 방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본지 23일자 참조). 울산시지부는 "민주노총 조합원과 민주노동당원 모두가 참여하는 합동총회를 진보진영 후보선출을 위한 예비선거로 실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운영위 결정사항을 대의원대회에 상정해 구체적인 일정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울산시지부는 민주노총 울산본부에 이같은 입장을 공식 통보했으며 울산본부는 24일 사회당 울산시지부장을 만나기로 하는 등 후보출마가 예상되는 진보진영에 총회 참여를 공식적으로 제안할 계획이어서 이들의 참여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울산지역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광역시장 선거에서 민주노총의 지원을 받은 후보가 2위를 하고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도 북구, 동구청장에 당선되는 등 친노동계 후보의 당선가능성이 어느 곳보다 높은 지역이다.
뿐만아니라 지난 총선에서 당선이 유력했던 울산북구에서 후보선출과정의 문제가 불거지면서 민주노동당 후보가 아쉽게 낙선한 바 있어 이번에 후보단일화가 당시의 상처를 얼마나 치유할 수 있을 지도 관심이 모아진다. 또한 6만5,000여명의 민주노총 조합원과 민주노동당원이 참여하는 합동총회를 통해 후보가 단일화될 경우 울산시장과 현대자동차노조 조합원들이 밀집해 있는 울산 북구, 현대중공업노조 조합원들이 밀집해 있는 동구 등에서 당선이 유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울산의 특성상 조합원 총회가 실시될 경우 총회에서 선출되지 않은 다른 노동계 후보가 나서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회당 울산시지부는 "아직 중앙당에서 지방자치제 방침 안이 확정돼지 않아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기는 곤란하다"며 "아직은 지방선거 보다는 정당활동의 폭을 넓혀가기 위해 비정규 사업장 연대 투쟁 등에 주력하고 있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또한 지난 지방선거에서 민주노총 지지후보로 울산시장에 출마했으며 이번 선거에서도 출마의사를 밝히고 있는 송철호 변호사는 "민주노총 총회가 울산지역 노동계가 총단결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참여 제안이 들어오면 긍정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