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예슬 기자

잇따른 금리인상과 레고랜드 사태 이후 금융시장의 자금경색 위험이 커지는 상황에서 정부의 선제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사무금융노조 증권업종본부(본부장 김기원)는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금융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길이 온 산으로 번지는데, 정부가 뒷북 땜질 대책으로 일관해 불안한 나날이 연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기원 증권업종본부장은 “당장 대통령이 금융위기 수습을 위해 전면에 나서기를 요구한다”며 “이번 금융위기는 어떤 기업의 펀더멘털 문제가 아니라 신뢰의 문제다. 무제한적인 지원을 약속해 달라”고 요구했다. 지난 9월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레고랜드 개발을 맡은 강원중도개발공사의 기업회생을 신청하자, 시장은 지방정부의 보증 불이행 선언으로 받아들였고 금융시장은 급랭했다. 시장 안정을 위해 정부는 ‘50조원+알파’ 상당의 국책금융을 자금시장에 투입하기로 했지만 자금시장의 불안은 쉬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조경봉 노조 케이비증권지부장은 “올해 연말까지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어음(ABCP) 만기가 도래하는 것이 1조원이 넘는다”며 “A2 신용등급을 가지고 있는 회사는 내년 신용평가에서 신용이 떨어지면 신용경색은 물론 그에 따른 자금경색으로 금융시장의 위기는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특수목적회사인 파인우노가 발행하고 GS건설이 신용보강한 자산유동화어음도 금리 20.3%~21%가 넘고 있다. 기업의 자기자본 이익률이 높은 금리를 따라가지 못하면 흑자 도산 가능성도 있다는 게 업계 우려다.

김기원 증권업종본부장은 “이번 금융위기의 가장 약한 고리는 중소형 금융사인데 지원은 빠져 있다”며 대책을 촉구했다. 본부는 “금융위기로 인한 피해는 온 국민에게 전가된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위기 해결에 직접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