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철도지하철노조협의회(궤도협의회) 소속 역무원들이 신당역 사건과 관련해 인력충원을 비롯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궤도협의회 역무직종대표자회의는 12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 철도와 지하철 역사에서 대시민 업무를 수행하는 역무원들의 안전문제가 심각하다”며 “신당역 사건 이후 주먹구구식 대책이 나오고 있지만 근본적 해결책인 안전인력 확충은 나 몰라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궤도협의회는 2인1조 순찰이 불가능한 인력구조를 신당역 사건의 한 원인으로 지목했다. 서울교통공사노조는 나홀로 순찰을 막기 위해 적어도 410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22일 신당역 사건과 관련한 특별교섭에서 서울교통공사에 인력확충을 포함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공사는 ‘여성 역무원 당직 축소’라는 대책을 내놓았을 뿐이다.
오히려 오세훈 서울시장발 구조조정이 가속화하고 있다. 공사는 만성적인 적자를 이유로 노조에 최소 1천200명 규모의 구조조정안을 제시한 상황이다. 김상철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위원장은 “서울시는 서울교통공사가 적자가 아닌 흑자를 내는 기업이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서울시민 누구도 자신의 안전과 서울시의 재정건전성을 맞바꿀 생각이 없다”고 강조했다.
서울시에 지하철 안전을 지키기 위한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최호철 서울교통공사노조 역무본부장은 “서울교통공사가 하청이라면 서울시는 원청”이라며 “모든 예산과 권한을 손에 쥐고 있는 서울시가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어떻게 해법이 나올 수 있겠냐”고 되물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