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공공·연금 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총력투쟁을 결의했다. 11월5일 서울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어 대정부 투쟁을 선언한다.
한국노총은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중앙집행위원회와 회원조합대표자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하반기 투쟁계획을 심의·의결했다.
하반기 목표는 노동·민생 안정과 반노동정책 및 구조조정 분쇄, 140만 조합원 단결 등 세 가지로 잡았다. 이를 위한 7대 입법 과제와 세 가지 투쟁 과제를 확정했다. 최저임금 차별적용 폐지, 공무직 차별개선 및 신분보장, 원·하청 노동자 보호를 위한 사업이전시 고용승계 의무화, 산업전환 과정에서 노동중심 정의로운 전환, 일하는 사람의 기본적 권리 보장, 5명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국제노동기구(ILO) 기본협약 발효에 따른 노동관계법 개정을 국회에 주문하기로 했다. 정책연대를 맺고 있는 더불어민주당과 고위급 정책협의회를 열고 노동존중실천 국회의원단 활동 재개를 건의할 예정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여야 의원을 포함해 7대 입법 과제를 담당하는 의원들과 간담회도 준비한다.
윤석열 정부와는 대립각을 분명히 세우기로 했다. 노동시간 유연화와 공공부문 민영화 추진,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개정을 준비하는 정부 시도를 막기로 뜻을 모았다. 공적연금을 약화하려는 연금 개악을 막아야 한다는 내용도 3대 투쟁 과제로 꼽았다.
전국노동자대회 개최를 위해 김동명 위원장은 추석 연휴 직후부터 다음달까지 25개 회원조합을 대상으로 현장 순회에 들어간다. 회원조합은 단위노조를 조직해 노동자대회에 결합하기로 결의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노총은 11월5일 전국노동자대회를 대규모로 개최해 윤석열 정부에 노동자들의 강력한 경고 목소리를 내야 한다”며 “이를 통해 7대 입법과제 연내 관철을 끌어 내고 정부의 노동·공공·연금 개악을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