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노동자들이 서울시에 서울교통공사 신규채용 규모를 축소하려는 계획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서울교통공사노조(위원장 명순필)는 1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와 공사가 신규채용 규모를 줄이려 하고 있다”며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고 공공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신규채용 규모를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서울시가 오세훈 시장의 공공부문 경영혁신 기조에 따라 올해 공사 신규채용 규모를 줄이려 한다고 주장한다. 노조가 공사를 통해 파악한 바에 따르면 올해 채용 규모는 지난해 449명보다 적은 수준이라고 한다. 반면 노조는 △지난 5월27일 서울시가 참여한 노사정 합의 △서울시 청년일자리 기본조례에 따른 청년고용 의무 △퇴직으로 인한 결원 충원을 근거로 최소 732명을 충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청년일자리 기본조례 4조1항은 “정원이 30명 이상인 투자·출자·출연기관의 장은 매년 해당기관 정원의 100분의 4 이상씩 청년 구직자를 정규직으로 고용해야 한다. 다만 구조조정 등 시장이 인정하는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제외한다”고 규정한다. 공사 정원의 4%는 653명으로, 이에 미달하는 채용 규모는 조례에 위배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진억 민주노총 서울지역본부장은 “청년일자리 창출은 사회적 책임인데도 서울시가 신규채용 규모 축소를 기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교통공사노사가 지난 5월27일 체결한 ‘열차 운행시간 조정 노사합의서’에는 △심야 연장운행 폐지로 인해 감축된 정원은 환원한다 △열차 운행시간 조정에 따른 안전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6개월 이상 장기결원 인력을 충원하고, 승무분야 인력을 증원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서울시 도시교통실장도 “위 합의내용을 확인함”이라며 서명을 남겼다. 명순필 위원장은 “현장 인력 부족 문제는 시민 안전 문제”라며 “시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노사가 성실히 합의했으면 이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노조는 신규채용 문제와 관련해 시청 앞에서 피케팅을 이어 나가고 19일에는 결의대회를 연다. 25일 대의원대회에서 투쟁 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채용 규모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답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