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호 전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직실장

집권여당이 사퇴 의사를 밝힌 사람까지 불러 최고위원회를 열 만큼 다급했다.

“친윤그룹이 주도하는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속전속결로 출범 수순에 돌입했다. 국민의힘 최고위원회는 지난 2일 사퇴하겠다는 최고위원들을 불러 비대위 체제 전환을 최종 결정할 상임전국위원회 및 전국위 소집 안건을 의결했다.”

집권여당이 절차적 정당성 논란까지 일으키면서 비대위로 전환했다고 비판한 이 기사는 “‘사의’ 배현진 불러 정족수 채운 與 최고위 … 親李 ‘위장 사퇴 쇼’”라는 제목을 달았다. 이 기사는 보수·극우정당을 좋아하는 매일경제 8월3일자 6면 머리기사였다.

같은날 조선일보는 4면 머리에 ‘준비 없이 5세 취학 내놓고 우왕좌왕 … 혼란 키운 교육부’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조선일보는 다음날 12면(사회면)에도 ‘장·차관에 차관보까지 … 비전문가 교육부’라는 제목의 머리기사로 윤석열 교육부의 ‘뻘짓’을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이 기사에서 현재 교육부 장관과 차관 모두가 행정 전문가이고, 교육부를 관장하는 대통령실 안상훈 사회수석은 사회복지전공자라 교육 정책을 다뤄 본 경험이 없고, 그 아래 권성연 교육비서관은 그나마 교육부에서 파견 나왔지만 그 역시 교육부 내 주요 보직을 거치지 않아 교육정책 전반을 총괄하기엔 무리라고 했다.

조선일보는 ‘5세 입학’ 참사를 빚은 근본 원인을 윤석열 대통령의 대책 없는 인사라고 짚은 셈이다.

김건희씨와 인연이 있는 인테리어업체가 대통령 관저 공사까지 했다는 논란이 불거지자 한국일보와 중앙일보, 매일경제 등 여러 보수언론이 4일자 사설로 일제히 비판했다. 보수언론의 이런 윤석열 때리기는 불안감의 표현이다.

보수언론의 이런 훈수에도 대통령은 연일 ‘묻지마 인사’를 강행한다. 윤석열 정부 첫 대법관에 지명된 오석준 제주지법원장은 과거 800원을 횡령한 버스기사에겐 해고가 정당하다고 판결한 반면 성비위 사건에 연루돼 파면된 국정원 직원에겐 파면이 지나치게 가혹하다고 판결했다. 이 인사로 대통령 지지율 떨어지는 소리가 또 들린다.

대통령은 이기정 전 YTN 기자를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에 임명했다. 이 역시 대통령 지지율을 끌어내렸다. 이 비서관은 과거 김건희씨와 친분 있는 인사들과 함께 문화예술단체에서 활동했다.

국민대가 김건희씨 논문 표절 논란에 면죄부를 줬지만, 이 역시 대통령 지지율을 떨어뜨릴 뿐이다. 국민대 동문들은 이런 결정을 내린 위원 명단과 최종 보고서를 공개하라고 성토했다. 국민은 바보가 아니다.

행정안전부에 경찰국을 신설해 경찰 전체를 적으로 만들어 궁지에 몰렸던 윤석열 정권이 ‘경찰대 출신만 경찰 고위직에 승진한다’며 타깃을 재조정하자 한국일보는 3일자 1면과 5면에 걸쳐 ‘경찰대보다 판·검사 직급 인플레가 더 불공정’하다고 보도했다. 모두 4명의 기자가 종합취재한 결과 경찰대 출신은 졸업 후 7급 공무원인 경위로 시작하지만, 판·검사는 3급 또는 4급으로 임용된다며 이게 더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윤석열 정부는 국민이 왜 등을 돌리는지조차 모른다. 이 정부는 쌓여 가는 인사 파행 속에 대형마트 휴업일 폐지나 반도체 기업 세액공제 등 부자와 대기업만 좋아지는 정책을 악착같이 쏟아 낸다. 누가 봐도 ‘부자감세’인 세제개편안을 발표해 언론이 이를 비판하자 경제부총리는 조목조목 반박하며 국민을 상대로 말싸움이나 하고 있다. 지지율 떨어지는 게 너무도 당연하다. 지지율 떨어지는 짓만 골라 하는데 안 떨어지면 이상하다.

전 민주노총 미조직비정규직실장 (leejh67@hanmail.net)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