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사내하청업체들이 하청노동자 파업에 대한 공권력 투입을 정부에 요구했다.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촉발한 하청노동자와 하청업체 간 갈등이 격화할 조짐이다.
대우조선해양 사내하청업체 대표들은 21일 오전 경남 거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찰과 공권력, 그리고 대통령님은 국가기간산업에서 일어나는 거제통영고성조선하청지회의 모든 불법행위를 철저하게 수사해 법질서를 바로잡아 달라”고 밝혔다.
지회는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한 지역 조선소 사내하청 노동자를 조직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사내하청업체 22곳과 벌인 올해 임금교섭이 결렬하자 지난 2일부터 파업에 들어갔다. 임금인상 결정권을 가진 원청과 대우조선해양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에 책임 있는 대안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지회는 22개 업체에 집단교섭도 요구하고 있다. 집단교섭이 이뤄지면 사태해결을 위해 원청·산업은행이 나서야 한다는 여론이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사내하청업체 대표들은 지회의 집단교섭 요구를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지회는 파업권을 확보하자 협력사별로 하는 개별교섭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집단교섭을 요구했다”며 “이들은 협력사 지불 범위를 벗어나는 임금 30% 인상을 주장하며 불법 파업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회가 에어호스·청수호스 절단, 핸드레일 임의 해체 같은 직원들의 안전·생명과 연결되는 위해 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회를 철저히 조사해 엄벌하고 이 땅에 더 이상 노조활동을 가장해 불법행위를 하는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강력하게 법 집행을 해 달라”며 “원청도 지회에 대해 고소·고발은 물론 진수 중단과 매출 손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등 법적 책임을 물어 달라”고 요구했다.
지회는 사내하청 대표들이 거짓을 주장하며 지회를 폄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지회는 보도자료에서 안전규정을 위반한 에어호스 사용을 중단시킨 것이고, 청수호수 절단과 핸드레일 해체는 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거짓 내용을 기자회견에서 주장한 데 대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지회는 “대우조선해양과 협력사 대표들은 저임금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은 하지 않고 공권력에 기대어 하청노동자 파업 투쟁을 파괴하려 한다”며 “22개 하청업체는 교섭대표단을 구성해 성실히 교섭에 임하고, 원청과 산업은행은 임금인상 요구에 화답하라”고 촉구했다.


불법행위 엄단을 위한 공권력 투입이 무슨 문제라도...?
불법이 아니라면 공권력 투입해도 상관 없잖아요?
저 파업에 폭력이나 불법행위, 불법적인 시설점거 같은게 있다면 엄단 처벌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