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운수노조 환경에너지안전협의회 소속 사업장 대표자들이 새 정부에 공공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 정부가 민간 주도와 시장주의, 작은 정부를 연일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발전·가스·생활폐기물 처리 등 환경에너지 분야에서 우회적인 민영화 시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홍범 노조 한국가스공사지부장은 천연가스 직수입 중단과 공공성 강화를 요구했다. 자가소비용 천연가스에 대한 민간 직수입 비중은 2005년 1.4%에서 2020년 22.4%로 증가했다. 신 지부장은 “천연가스는 국민들에게 값싸고 질 좋은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이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국민편익 증진과 공공복리 향상에 필수적”이라며 “자가소비용 천연가스 직수입은 천연가스 수급 불안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간 주도 에너지 전환이 아닌 공공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라는 요구도 나왔다. 제용순 발전노조 위원장은 “공공성을 뒤로한 채 민간이 주도하는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 것은 에너지 전환을 빌미로 대기업 자본의 이윤을 극대화하려는 꼼수”라며 “전기라는 공공재를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할 권리를 갖게 하려면 발전산업을 민주적·공공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진수 한국전력기술노조 위원장은 “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공공기관 운영의 민주화를 추진하고 노동자의 고용과 노동권을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윤석열 당선자와 인수위가 수도권 폐기물 대란을 막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는 요구도 이어졌다. 황병기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노조 위원장은 “인천시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예고하면서 서울시와 경기도에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각자 지역에 처리시설을 만들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폐기물 대란이 눈앞으로 다가오고 있는데도 수도권 3개 시·도 지자체장은 정치적 이해관계로 문제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에 윤 당선자가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