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선업 수주량이 급증하면서 ‘인력난’을 호소하는 가운데 ‘조선업판 상생형 일자리’가 추진된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2015년 이후 중단했던 정규직 채용에 나선다. 또 협력사 노동자 직영(정규직) 전환도 재개한다. 노동부와 울산시·울산시 동구·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사내협력사연합회는 10일 상생협약을 맺고 인력수급 문제 해결에 뜻을 모으기로 했다.

협약에 따르면 노동부와 울산시·울산시 동구는 조선업 기술연수생 1명당 최대 월 100만원의 훈련장려금을 지원한다. 또 정부의 청년채용특별장려금에 울산시가 10%를 추가 지원해 연간 최대 99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조선업 신규 취업자 중 울산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2년간 목돈 적립 프로그램으로 ‘조선업 내일채움공제’를 새로 도입한다. 울산시는 이들에게 주거비와 이주정착비(6개월 근속시 최대 1년간 주거비 25만원)를 지원한다. 울산 동구는 관할 조선업체에 고용유지장려금의 사업주 몫(최대 9개월간 1명당 월 21만원)을 대신 부담한다.

하청업체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단가를 적정 수준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과 4대 보험요율 인상 등을 감안해 단가를 산정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조선업 경영안정자금으로 200억원, 조선업 특례보증으로 75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노동부는 조선업이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돼 그동안 납부가 유예된 고용·산재보험료를 최대 3년간 분할 납부할 수 있도록 제도를 손본다.

하청노동자의 임금인상도 추진한다.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 및 사내협력사는 하청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임금인상을 추진하고 자녀학자금과 주택마련대출 지원 확대, 직장어린이집과 노동자 숙소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공동근로복지기금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안경덕 노동부 장관은 “정부는 자치단체와 함께 조선업이 다시 청년이 찾는 ‘좋은 직장’이 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적극 지원하겠다”며 “협약을 통해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이 정규직 채용(전환)을 재개한다고 발표한 것은 지역을 넘어 국가 차원에서 고무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노동부는 이번 상생협약을 계기로 조선업의 일자리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다른 지자체·기업과도 협약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