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노총이 19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대회 개최 보장을 요구했다. <홍준표 기자>

민주노총이 20일 총파업을 통해 불평등 체제 타파와 안전한 일터를 요구한다. 전체 조합원 절반가량인 55만명이 총파업에 참가할 예정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14개 지역에서는 총 8만명 규모의 총파업 대회가 열린다. 서울 도심 대회에는 3만명이 집결할 계획이다. 건설안전특별법을 요구하는 건설노동자, 급식실을 안전하게 만들어 달라는 학교비정규직, 직무와 무관한 수당 차별을 철폐하라는 공무직 노동자, 직접고용을 촉구하는 고객센터 상담사들이 총파업 주력이다.

비정규직 철폐·노동기본권 보장 요구
건설·학교비정규 노동자 파업 선봉에

19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서울대회는 20일 오후 2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면서 시작된다. 이 자리에서 청년 조합원이 ‘사회 불평등 타파를 위한 청년의 결의’를 밝힌다. 금속노조·서비스연맹·건설산업연맹·공공운수노조 위원장은 각각 △정의로운 산업전환과 비정규직 철폐 △투기자본 규제와 일자리 국가보장 △노동법 전면 개정과 건설안전특별법 제정 △주택·교육·의료·돌봄·교통 공공성 강화를 요구한다. 이날 방호복을 입고 첫 재판에 참석했던 양경수 위원장의 옥중편지도 공개된다.

안전한 일터에서 일하고 싶다고 호소하는 건설노동자들이 총파업 선봉에 선다. 건설노조는 이날 오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노동자는 위험작업을 거부하겠다”며 “사람을 살리는 총파업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3만여 건설노동자가 총파업에 동참한다. 이 중 1만5천여명은 서울대회에 참가한다. 전국 6천여개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 노동자 4만여명도 하루 동안 일손을 놓는다. 서울대회에는 1만여명이 집결한다.

대회 주요 구호는 △110만 총파업 사회 대전환 이뤄 내자 △비정규직 완전철폐, 소득불평등 끝장 내자 △5명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하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 2조 전면 개정하라 △공공의료 확대하고 보건의료인력 확충하라 등이다.

경찰, 서울도심 차벽 설치·집결 차단
민주노총 “정부는 총파업대회 보장하라”

민주노총은 정부가 집회를 원천봉쇄함에 따라 서울대회 장소를 아직 정하지 못했다. 경찰은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을 중심으로 차벽을 설치하고 기동대 1만여명을 투입해 대회 참가자의 집결을 차단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총파업 대회 주최자와 참여자를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 위반 혐의로 고발할 방침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에는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경찰은 서울지하철 광화문역·시청역·종각역·종로3가역·안국역 5개 지하철역 무정차를 검토 중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만약 총파업을 강행한다면 정부로서는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다”며 “지금이라도 총파업 계획을 철회해 달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파업 대회 개최를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윤택근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코로나19로 거리에 내몰린 노동자들이 같이 살 수 있게 정부가 책임질 것을 요구했다는 이유로 양경수 위원장이 구속됐다”며 “정부는 모두가 힘들고 어려운 상황에서 노동자와 민중에게만 가혹한 잣대를 들이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직무대행은 “110만 민주노총 조합원의 이야기를 듣지 않는 대통령이 과연 국민의 대통령인지 되묻고 싶다”며 “안정된 공간에서 방역수칙을 지키며 집회를 열 수 있도록 정부가 책임져라”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방역수칙을 준수하며 안전하게 총파업대회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