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속노조 경남지부와 노조 대우조선지회가 지난 15일 대우조선해양의 매각철회를 요구하며 시작한 천리길 도보행진을 마쳤다. <금속노조 경남지부>

“대우조선 매각해서 조선업이 살아난다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어요. 진행되고 있는 매각을 전면 철회하고 정말 조선산업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이해당사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하자는 거예요.”

신상기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장이 16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의 면담을 요구하며 청와대 앞 노숙농성에 돌입했다. 신상기 지회장을 비롯한 지회와 금속노조 경남지부 조합원 50여명은 이달 8일 경상남도 거제시 대우조선에서 출발해 지난 15일 창원도청에 이르는 274킬로미터 도보 행진을 마쳤다. 천리길 도보행진과 노숙농성의 목표는 하나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대우조선해양과 현대중공업의 기업결합심사에서 결합을 불허하라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 최대주주인 산업은행은 2019년 1월 현대중공업그룹에 대우조선해양을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유럽연합(EU)과 공정거래위의 기업결합심사가 늦어지고 있다. 그렇게 2년8개월이 흘렀다.

협력업체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 김종호 지회 비정규대외협력실장은 “심사가 지연되면서 대우조선해양이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 “선주사들이 불완전한 회사에 수주를 맡기려 하지 않고 물량이 많이 떨어져서 노동자들, 특히 협력사 노동자들이 해고를 당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지역상인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2022년 수주 목표치(77억)를 초과달성했지만 수주 실적이 건조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지회는 “직접 당사자인 경남 기자재협동조합과 대우조선 협력사협의회 등은 3년째 진행 중인 매각으로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며 “(기업결합으로) 명백한 독과점이 발생하는데도 3년이라는 기간 동안 공정거래위는 전원회의도 하지 않고 시간을 흘려보냈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