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원에 따른 고용효과 차이는 어떤가요? 태양광 발전이 석탄화력보다 고용효과가 8~9배 많다고 하는데 질적으로 비교해도 그런가요? 안정적 일자리로 볼 수 있는 발전소 운영인력이 아니라 대부분 건설인력으로 일용직 아닌가요?”
탄소중립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기후위기와 정의로운 전환을 둘러싼 노동계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한국전력과 5개 발전사 등 에너지 분야 공공노동자들이 속한 공공노련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회관에서 ‘기후변화와 일자리’를 주제로 여섯 번째 공공노동포럼을 열었다. 이날 발제를 맡은 김현우 에너지기후 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을 향해 질문이 쏟아졌다. 송민 남부발전노조 위원장은 “1기가와트당 고용효과를 보면 신재생에너지는 석탄화력에 비해 10분의 1에 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며 “탈석탄이라는 방향이 틀렸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노동문제만큼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제대로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김현우 연구기획위원이 제시한 ‘에너지원에 따른 고용효과(국제재생에너지기구 2012 보고서)’는 1기가와트당 태양광 발전이 0.9명, 석탄화력 발전은 0.1명 수준이다. 김 연구기획위원은 “지금 수명 20년인 석탄화력 발전소를 지어도 앞으로 10년도 가동 못 할 수 있기 때문에 ‘좌초자산’이라는 말이 나온다”며 “재생에너지 일자리도 설계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는 만큼 노동계가 선제적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초자산은 시장환경 변화로 인해 가치가 하락해 부채로 남는 자산을 말한다. 석탄발전소가 대표적이다.
이날 논의는 경제 논리와 산업구조 측면에만 치우쳐 있는 문재인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노동자와 지역주민 중심으로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는 데 초점이 모아졌다. 김 연구기획위원은 “이를 위해서는 업종을 넘어 모든 노조가 기후위기를 자신의 이야기로 만들고 의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표사례가 미국 보건의료 노동자의 기후파업이다. 2012년 허리케인 샌디가 미국을 강타하면서 뉴욕에서는 단전·단수 사태가 벌어졌다. 홍수와 정전이 발생하자 병원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은 환자들을 대피시키고 불 꺼진 병원 복도에 남은 환자들을 밤새 지켜야 했다. 복구 작업도 노동자들이 도맡았다. 이 과정을 거치며 서비스종업원국제노조(SEIU) 동부보건의료지부 조합원들은 ‘기후변화가 바로 보건의료 노동자의 문제고, 기후위기는 보건의료의 위기’라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2014년과 2020년 ‘기후파업’을 하고 정부를 향해 탈탄소 정책 수립을 촉구했다. 김 연구기획위원은 “2050 탄소배출 제로를 위해 국가와 사회 차원의 계획을 수립하는 데 노동운동은 무엇을 할 것인지 환경운동과 지역사회운동, 진보적 정치세력과 함께 기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