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노련이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 노선버스를 포함시켜 달라고 촉구했다. 이런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경기지역을 비롯한 비준공영제 지역 노선버스 승무 거부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했다.

22일 연맹은 ‘4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요구하는 결의문’에서 “올해 1월 한 달 동안 시내버스 28.8%, 시외버스 70.9%, 고속버스 65.2%의 매출액 감소가 발생했다”며 “특히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는 자본잠식으로 궤멸 직전”이라고 밝혔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인건비와 유류비 지급이 불가능해진다는 주장이다.

버스업계에 따르면 서울과 제주 등 7개 버스 준공영제 실시 지역은 지방자치단체가 적자를 보전하지만 그 외 경기를 비롯한 비준공영제 지역은 환승할인 같은 공적 부담에 대한 손실보전이 미흡해 노선버스 업체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연맹은 “회사의 적자경영은 결국 정리해고로 이어지고 극심한 노사분쟁이 우려된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4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노선버스를 제외할 경우 승무 거부 등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대중교통 운수노동자를 필수노동자로 지정했지만 3차까지 지급한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노선버스는 포함된 적이 없다. 다만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기사를 포함하고, 50만~100만원을 지급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