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올해 임금 6.8% 인상을 요구한다. 월 고정임금(월 정액임금+월할 상여금) 총액기준 25만6천199원이다. 1986년부터 공동 임금·단체교섭 투쟁지침을 발표해 온 한국노총의 올해 임금인상 요구율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4.7%)과 1999년(5.5%) 이후 최저수준이다. 코로나19가 몰고 온 경제 충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4일 한국노총은 2021 한국노총 임금인상 요구안을 발표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연대임금전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임금인상 요구율 6.8%는 노동자 임금인상분 4.2%와 연대임금 조성분 2.6%로 구성된다. 노동자 임금인상분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3.2%와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 1%를 반영한 결과다.

연대임금은 원·하청 불공정 거래구조에서 비롯된 불평등을 해소하고 노동계급의 연대 강화를 위한 전략이다. 연대임금전략의 첫 단계는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설치하는 것이다. 기업을 넘어 지역사회 안에서 대기업(내지 중견기업)이 중심이 되고 하청(중소)기업을 묶어 연합형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조성한다. 생산활동에서 발생하는 이익을 대기업이 독식하지 않고 중견기업·중소기업 노동자와 함께 나누자는 취지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기본적인 임금인상 요구는 6.8%를 기준으로 제시하되, 노사분담을 전제로 현장 사정에 맞게 임금인상분 내 일정비율을 출연해 공동근로복지기금을 설치·운영할 것을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동근로복지기금이 설치된 곳은 196곳이다. 이 중 116곳이 지난해 신규로 기금을 조성했다. 한국노총의 연대임금전략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노총은 비정규직 임금인상 요구안을 정규직 월 임금총액 인상 요구액과 동일하게 정했다.

한편 지난해 한국노총 소속 노조의 평균 임금인상 요구율은 5.8%, 실제 임금인상 타결율은 2.9%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