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사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이 노동시장 구조개선과 관련한 노사정 합의 실패 책임을 지고 결국 사퇴했다.

노사정위는 지난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김대환 위원장이 노동시장 구조개선 대타협 결렬의 책임을 통감하고 9일자로 청와대에 사퇴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최영기 상임위원도 동반사퇴했다.

2013년 6월 취임한 김 위원장은 지난해 12월과 올해 3월 두 번에 걸쳐 “노사정 대타협에 실패하면 위원장직을 사퇴하겠다”고 배수진을 쳤다. 하지만 노사정 합의가 불발되면서 임기 두 달여를 남겨 놓고 물러나게 됐다.

2005년 고용노동부 장관 시절 비정규직법 입법 과정에서 노동계와 충돌해 퇴진압박을 받았던 김 위원장은 노사정위원장직을 수행하면서도 노동계와 껄끄러운 관계에 있었다.

지난해 1월에는 전년 12월 경찰의 민주노총 건물 진입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과 함께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철수를 비판해 논란에 휩싸였다. 올해 2월 한국노총 정기대의원회에서 축사를 하다 대의원들을 자극하는 발언을 해서 야유를 받았고, 급기야 다음달 열린 한국노총 창립기념식에 참석하지 못하는 수모를 겪었다.

노동시장 구조개선 합의를 압박한 두 번에 걸친 사퇴 배수진에 대해서도 노동계의 평가는 박했다. 한국노총은 당시 “진정성이 의심된다”며 “사회적 대화기구 수장답지 못한 부적절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