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가 26일 노사정 대표자들을 만나 청년실업 문제를 언급하면서 노동시장 구조개선 대타협을 주문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후 서울 삼청동 총리 공관으로 노사정 대표자들을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다. 이날 자리에는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박병원 한국경총 회장·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이 참석했다.

이 총리는 먼저 “청년실업이 대단히 풀기 어려운 문제이지 않냐”며 “미래세대까지 생각하는 대승적 차원에서 문제를 풀었으면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최악의 청년실업 문제를 극복하고 경제체질을 혁신해 재도약을 이룰 수 있을지는 노동시장 구조개선에 달렸다”며 “정부도 어떻게 하면 최대한 지원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는 만큼 노사가 대승적 차원에서 3월 내에 꼭 합의해 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이 총리는 김동만 위원장에게 “노사정 합의를 위해 조금 더 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합의만 하면 청년일자리가 만들어질 것 같이 (정부가) 말하는데, 각론(세부 논의의제)으로 들어가면 전혀 그렇지 않다”며 “청년실업 문제를 기성세대 책임으로 돌리는 것은 문제”라고 비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저성과자를 퇴출하는 법·제도를 만들어 해고를 쉽게 한다면 부작용이 많고 사용자가 악용할 소지도 있다”며 “이런 내용을 어떻게 노동계가 받아들일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한편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노사정 관계자들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때로는 이해관계가 엇갈려 난항을 겪기도 하지만 국민의 기대가 큰 만큼 노사정 대표자들이 잘해 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