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총파업과 관련, 정부가 최근 금융노조에 대화를 요청하고 있는 가운데 당초 '대화 무용론'을 고수해온 노조가 "회의내용 전체가 일반에 알려질 수 있는 '공개 대화'라면 응하겠다"고 밝혀 이에 대한 정부측 반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금융노조 이용득 위원장은 4일 기자회견에서 "공개 대화라면 이에 응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발언에서 단서로 붙은 '공개'의 의미에 대해 금융노조의 한 관계자는 "전체 회의내용이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총파업의 열기가 무르익게 되자 정부가 마지못해 대화를 주장하고 있으나, 모든 것을 '언더'에서 이야기하자는 태도에는 변함이 없다"며 "우리의 입장은 '오픈'된 공간에서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융노조가 공개대화를 요구하는 배경에는 정부에 대한 뿌리깊은 불신이 자리잡고 있다. 금융구조조정과 관련, "강제합병은 없다", "연내 구조조정은 없다"라고 했던 정부관료들이 스스로 발언을 번복하곤 했다는 것이다.

특히 금융노조는 지난 달 8일 노사정위 산하 금융특위를 탈퇴하기 직전까지도 정부에 금융지주회사법 등 금융구조조정관련 핵심사안에 대해 논의하자고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에도 정부의 일방통행식 태도가 계속돼 금융노조가 총파업을 경고했음에도 금융지주회사법안의 국무회의 통과를 서둘러 진행하는가 하면, 은행간의 '짝짓기설'들을 남발해 노조를 더욱 자극시켜왔다. 특히 관치금융은 없었다는 이용근 금감위원장 등 정부고위관계자들에 대해서는 '사기꾼들'이라는 원색적인 표현도 나올 정도.

노조나 정부나 총파업에 대한 부담감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대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먼저 노조의 불신을 자초한 정부가 전향적인 태도로 나설 때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