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의 요구가 반영된 공공부문발전위는 공공기관의 협력적 노사관계 모델을 비롯해 미래지향적인 공공부문 개혁방안을 모색한다. 당초 위원회 명칭이 '공공부문혁신위원회'로 제안됐지만, '혁신'이라는 단어가 내포한 공격적 의미가 논의 취지를 왜곡할 수 있다는 한국노총의 지적에 따라 '발전'으로 바뀌었다.
위원회 구성 역시 당초 위원장 1명, 노동자·사용자·정부위원 각 2명, 공익위원 5명으로 제안됐으나, 노사정 당사자의 비중이 적고 공익위원 비중이 지나치게 크다는 지적을 수용해 노동자·사용자·정부위원이 각 3명씩 참여하기로 했다. 논의기간은 6개월로 하되 필요시 1년 범위에서 연장할 수 있다.
산업안전위는 세월호 참사로 전 국민의 관심사가 된 안전문제를 폭넓게 다뤄 보자는 취지로 꾸려졌다. 산업현장의 안전시스템 개선과 안전문화 정착방안을 모색한다.
노동시장구조개선특위는 기존의 임금·근로시간특별위원회를 확대·개편한 것이다. 임금·근로시간에 의제를 국한하지 않고, 노동시장 구조개혁이라는 큰 틀의 논의를 지향한다. 임금과 근로시간 문제에 대한 노사의 상반된 견해가 좁혀지지 않는 상황에서 원활한 사회적 대화를 위해 협상 의제를 대폭 확대한 셈이다. 산업안전위와 노동시장구조개선특위에는 위원장 1명, 노동자·사용자·정부위원 각 2명, 공익위원 4~5명이 참여한다. 논의기간은 1년으로 하되, 1년 연장이 가능하다.
노사정위는 이 밖에 △일·가정 양립을 위한 일자리위원회 △고용유인형 직업능력개발제도 개선위원회 △자동차부품업종위원회 등 기존 회의체를 즉시 재가동하기로 했다. 이달 중 차관급으로 구성된 상무위원회를 열어 신설 위원회 위원 구성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간다.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고 서민의 생활불안을 덜면서 중산층을 두텁게 하는 길을 노사정이 함께 가꿔 나가자”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