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지난해 12월 민주노총 경찰 난입사건으로 불참했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 복귀한다. 이에 따라 노사정위는 8개월 만에 식물 상태에서 벗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노총은 13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어 노사정위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노사정위 복귀 후 우선 공공부문 문제에 대해 공론화의 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김동만 위원장은 "박근혜 정부 2기 경제내각이 출범하면서 대화의 단초가 마련됐다"며 "정부는 일방통행식 노동정책 기조에서 탈피해야 하며, 무엇보다 공공부문 정상화 방안에 대해 노동계와 진정성있게 대화하는 전향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국노총은 지난달 29일 열린 노사정 대표자 간담회에서 노사정위 내 공공부문 관련 회의체 설치를 제안했고, 정부와 경영계가 이를 수용한 바 있다.

노사정위는 한국노총의 이번 결정에 따라 오는 19일께 본회의를 열어 공공부문 관련 위원회 설치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불참으로 '반쪽짜리 사회적 대화'라는 비판은 여전히 뒤따를 전망이다.

한편 한국노총 금융노조, 공공노련, 공공연맹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연맹, 보건의료노조가 속한 양대 노총 공공부문노조 공동대책위원회는 지난 7일 열린 대표자회의에서 한국노총 소속 3개 산별연맹이 노사정위에 참가하되, 노정 교섭에서 합의(협의)에 이를 경우 이에 대한 내용은 공대위 대표자회의 결정에 따르기로 했다. 한국노총은 장내에서, 민주노총은 장외에서 공공부문 연대투쟁을 이어 간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