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한국노총을 찾아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복귀를 요청했다. 이 장관은 "대화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라며 여러 차례 노사정 대화를 강조했다.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은 "기획재정부가 노동부 역할까지 하면서 월권을 하고 있다"며 "공공부문 노동탄압 해결이 먼저"라고 주문했다.

지난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회관을 찾은 이 장관은 김동만 위원장과 만나자마자 포옹하며 각별한 모습을 보였다. 김 위원장도 "장관으로 다시 돌아와 천군만마를 얻은 기분"이라며 환대했다. 이날 면담 분위기는 시종일관 화기애애했지만 노사정 대화와 시간제 일자리 확산을 두고 두 사람은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김 위원장은 "인사청문회를 수석으로 통과한 것을 축하한다"며 "노정 및 노사 간 진정한 파트너십과 신뢰를 쌓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노사관계나 경제가 어려울 때 한국노총이 항상 동반자로서 문제를 해결했다"며 "일자리 양을 늘리고 질을 높이며 자라나는 세대에게 안정된 일자리를 줄 수 있는 새로운 질서를 만드는 데 한국노총과 머리를 맞대고 싶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과 관련해 정부와 전혀 소통이 안 되고 있다"며 "공공기관 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어떤 모양새든 자주 만나고 머리를 맞대는 것이 중요하다"며 "노사정위가 중심이 돼서 업종이나 지역에서 다양하게 논의하자"고 말했다.

시간제 일자리와 관련해 김 위원장은 "질 낮은 일자리가 늘어나는 것은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 장관은 "정부가 지향하는 시간제 일자리는 필요에 따라 풀타임과 파트타임의 전환이 가능한 시간선택제 일자리"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장관은 이번주 중 민주노총 방문의사를 내비쳤다. 민주노총은 "의례적 행보 이전에 신뢰회복부터 해야 한다"며 "전교조 법외노조화와 잘못된 통상임금 행정해석·전북 신성여객 노조탄압 문제 등 산적한 노동현안 가운데 하나라도 앞장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 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