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위원장은 9일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지역 경제주체들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수원 라마다호텔에서 노사정위와 경기지역노사민정협의회 공동주최로 열린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사회적 대화’ 경기지역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고용률 70%는 단순히 수치만 올리자는 것이 아니라 근로시간단축과 일·가정 양립 등 근로생활 패러다임의 전반적인 전환을 의미한다”며 “이를 위해 중앙뿐 아니라 지역 경제주체들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경기지역은 노사민정 대화를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모범지역인 만큼 지역주체들이 진솔한 대화를 통해 맞춤형 해법을 찾아 달라”고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강순희 경기대 교수(직업학과)는 경기도 예산에서 일자리사업 예산 비중이 지나치게 낮은 점을 지적했다. 강 교수는 “광역 시·도 가운데 자체예산 규모가 12위인 대구의 일자리사업 비중은 4위(0.96%)인데, 자체예산 규모가 1위인 경기도는 그 비중이 12위(0.59%)에 불과하다”며 “지역 노사민정이 함께하는 일자리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일자리사업의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준식 한림대 교수(사회학과)는 “지역발전 패러다임의 과감한 전환이 고용률 70% 달성의 필수요건”이라며 “지역 특화 클러스터 구축과 지역 경제주체들의 역량 결집이 중요한 선결과제”라고 말했다.

한편 노사정위는 이날 토론회를 끝으로 고용률 70%와 사회적 대화를 주제로 한 전국순회 토론회를 마무리했다. 노사정위는 9월부터 서울·대구·부산·광주·대전·수원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