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사무노위는 5일 성명을 통해 "대우차 회생의 관점을 무시한 과도한 투쟁은 시장에서의 대우차 수요를 급감시키면서 결과적으로 파멸의 길로 내몰고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김우중 체포결사대 투쟁으로 대우차의 유럽시장에서의 수출량이 30% 감소됐다며, GM매각 저지 투쟁은 결과적으로 대우차 청산을 재촉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이에 이들은 △국제결사대 파견 취소 △대우차 공투본을 '대우차 정상화 본부'로 발전적 해소 △회사측은 회사정상화시 정리해고자에 대한 리콜 명시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노동계는 6일 "국제결사대 파견 계획을 중단할 의사가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국제결사대 파견을 추진하는 금속산업연맹의 한 관계자는 "GM이 아니면 청산될 것이라는 역공은 예상된 바"라며 "정부는 파국이 예상되는 GM이 아닌 회생방안을 우선 찾아야 할 것"이라며 4월 중순께 4∼5명으로 구성되는 국제결사대 파견을 재차 확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