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노동계는 대체로 실망스런 개각속에 노동문제 전문가의 입성이라는 점에서는 일부 기대를 보이기도 했다. 27일 한국노총은 "이태복 신임수석은 노동계 사정을 잘 아는 인사라는 점에서 노동문제 접근방식이 전과를 다를 것으로 기대한다"며 "무분별한 공기업 민영화 반대 등에서 보여왔던 평소의 소신을 유지해 줄 것"을 주문했다. 민주노총도 "노동계를 잘 아는 전문성 면에서는 기대할만하다"며 "그러나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이 요지부동인 가운데 얼마나 자기 목소리를 낼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또 경총은 이번 개각에 대해 "법과 원칙을 준수해 노사관계 불안이 더 이상 어려운 경제상황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논평했다. 이에 비해 노동부 한 관계자는 "의외의 인사"라고 전제, "노동문제를 피부로 느껴온 만큼 노동현실과 국가정책을 조율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고 전했다.
이와함께 노동계는 이번 개각에서 '공동정부의 정신'을 강조하며 자민련 3명과 민국당 1명이 기용된 것과 관련, "또 다시 나눠먹기냐"며 악평했다. 양대노총은 "이번 개각은 건강보험 재정파탄을 계기로 이반된 민심을 모으기 위해 국정쇄신용으로 단행된 것"이라며 "그러나 민주당과 자민련 공조에 이어 민국당까지 가세한 3당 연합 덕에 원래 취지를 잃어버린 셈"이라고 평가했다.
한편 김호진 장관의 유임으로 노동부 직원들은 상대적으로 조용히 이번 개각을 지켜봤다. 김 장관에 유임에 대해 노동부의 한 관계자는 "실업대책을 현 경제부처와 팀플레이로 하고 있는데다 취임이후 큰 노사현안들을 해결한데서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은 것 같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