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시민·사회단체와 정당으로 구성된 ‘병원비 걱정 없는 사회를 위한 무상의료 국민연대’(무상의료국민연대)가 "진보정당들과 정책협약을 체결하겠다"고 밝혔다.
무상의료국민연대는 21일 오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상의료는 시대적 과제로서 총·대선을 계기로 무상의료를 실현하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총선협약을 위한 정책안’을 모든 야권 총선후보들이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하고 진보정당과 정책협약을 체결한다는 계획이다. 정책안에는 △국민건강보장 강화 △건강보험 재정 확충 △보건의료 공공성 강화 △공공의료 확대 △보건의료인력 확충 △보건의료체계 일원화 △의료영리화 정책 폐기 등의 내용이 담겼다.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은 “양대 노총을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이 총·대선을 통해 반드시 무상의료를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정식 한국노총 사무처장은 “모든 국민은 건강하게 살다가 죽을 권리가 있다”며 “무상의료 정책을 민주통합당에서 적극적으로 관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들은 ‘병원비 걱정 없는 사회를 위한 2012 무상의료 국민선언’도 선포했다. 국민선언에는 1천871명이 동참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현재 건강보험 혜택은 우리가 내는 병원비의 60%에 불과하다”며 “병원비의 90% 이상을 건강보험으로 해결하고 개인이 지불하는 병원비가 연간 100만원을 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상의료국민연대는 이어 총선이 지난 뒤 ‘무상의료 천만인 선언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거리 캠페인·문화콘서트·SNS 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국민 참여를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