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회의에는 한전기공, 한국수자원기술공단, 한국건설관리공사, 뉴하우징, 한국공중전화, 한국통신진흥, 한국통신기술, 한국통신산업개발, 고속도로정보통신공단, 고속도로관리공단 등 10개 사업장의 노조 위원장들이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전복택 한전기공노조위원장은 "기획예산처에서도 국가 중요사업을 수행하고 공익적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회사들은 공기업으로 존치해야 한다는 원칙을 발표한 바 있다"며 "졸속적인 매각작업을 즉각 중단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달 6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공공특위가 '공기업 자회사 정리방안'을 다루기로 하고 노조간부들의 의견을 들었으나, 논의방식에 대해서는 노정간 차이가 크다. 노조쪽은 정리대상 자회사 41개중 공익성이 강하고 민영화 등의 정리일정이 임박한 10개 사업장을 중심으로 논의하되, 정보통신부,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등 해당부처별로 사업장을 나누어 소위를 구성하자는 입장이다. 특히 공공특위 활동에 따라 정부정책의 변경가능성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비해, 기획예산처는 사업장별로 정해진 기본방침을 재검토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쪽이어서 논란을 빚고 있다.
한편 이날 집회는 한국노총 주최로 이루어졌으며, 노사정위에 제기된 사업장도 민주노총 소속은 빠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