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고용허가제로 국내에 입국하는 외국인 노동자가 올해보다 1만4천명 늘어난다. 국무총리실장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외국인력정책위원회는 지난 24일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2011년 외국인력 도입계획’을 확정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해당연도 2~3월에 외국인력 도입계획을 확정해 왔지만, 내년 계획부터는 전년 12월에 결정해 분기별로 인력을 배정하기로 했다.

정부 계획에 따르면 내년 1년간 국내에 신규로 들어오는 외국인력은 4만8천명이다. 올해(3만4천명)보다 1만4천명 증가했다. 고용노동부는 “내년 경제전망과 내국인 일자리 문제 등을 감안하고, 체류기간이 만료와 불법체류자 단속에 따른 대체수요를 반영했다”며 “향후 인력수급과 불법체류 추이 등을 모니터링해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 도입하는 외국인력은 모두 고용허가제를 통해 들어오는 일반 외국인(E-9)이다. 외국국적 동포는 30만3천명 수준으로 동결된다. 업종별로 보면 인력부족이 심한 제조업에 가장 많은 4만명이 배정됐다. 이어 농축산업(4천500명)·어업(1천750명)·건설업(1천600명)·서비스업(150명) 순이었다.

한편 노동부는 내년 외국국적 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건설업 취업등록제 적용인원을 5만5천명으로 결정했다. 노동부는 "건설일용직 고용악화 등을 감안해 1만명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