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원장 이근선)은 "지난 2일 낙동강 사업 8공구 5곳에서 토양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2곳에서 납·아연 등 중금속 성분이 농경지 기준의 1~9.1배, 하천기준의 1.2~4.6배 초과했다"고 15일 밝혔다. 조사 결과 김해시 상동면 감로리 앞 하천부지의 경우 아연은 2천744피피엠(8-2지점), 1천918피피엠(8-3지점)이 검출됐다. 농경지 토양오염 기준인 300피피엠의 6~9배를 초과한 것이다. 하천 토양오염 기준 600피피엠에 대입하면 3~4.6배에 이른다.
납의 경우도 8-2지점에서 460피피엠이 검출돼 농경지 토양오염 기준치인 200피피엠의 2배를 넘었다. 하천의 토양오염 기준치(400피피엠)보다도 높았다. 연구원은 불법 산업 폐기물로 추정되는 성분도 확인했다. 이 같은 매립토를 포함한 하천변의 흙을 정부 정책에 따라 농경지 리모델링에 사용할 경우 농경지마저도 오염될 것이라는 게 연구원의 지적이다.
연구원은 "토양오염이 우려되는 3개 공구 21곳(8공구 8곳·9공구 8곳·15공구 5곳)을 선정해 실태조사를 벌이려 했지만, 부산지방 국토관리청이 허가를 하지 않아 8공구 5곳에 대해서만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근선 원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4대강 공사에 따른 토양오염 실태에 대해 전반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후속대책으로 민간 검사기관과 합의해 조사지역을 늘리고 정밀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