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운송 목적으로 등록된 화물용 진개덤프가 골재 등 건설자재까지 불법으로 날라 덤프노동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진개덤프는 쓰레기 등의 폐기물 처리업무 등에 한해서만 영업을 할 수 있도록 지자체로부터 허가를 받은 화물차를 말한다. 현행 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에 따르면 허가된 것 외에 다른 것을 운반할 경우 허가가 취소된다.

17일 건설노조 충북건설기계지부(지부장 이용대)에 따르면 최근 진개덤프가 기존에 등록된 사업내용 외에 건설자재를 운반하면서 덤프노동자들의 일자리가 줄고 있다. 진개덤프는 영업용 화물차로 등록돼 유류보조금을 받지만 건설기계로 등록된 덤프는 유류보조금을 받지 못해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 일부 진개덤프 운전자들은 적재함 구조를 변경해 덤프 적재용량보다 더 많은 건설자재를 운송해 덤프 노동자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게다가 덤프의 경우 가동률이 50%를 밑돌아 과당경쟁과 가격덤핑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08년부터 수급조절을 실시하고 있는데, 진개덤프로 인해 수급조절마저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덤프노동자 ㄱ아무개(53)씨는 “화물차가 건설기계업종에 들어와 이런 식의 불법운행을 하면 일자리가 없어 실시한 수급조절의 의미가 하나도 없게 된다”며 “가격경쟁력 면에서도 덤프는 유류보조금을 받는 진개덤프를 따라 갈 수가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지부는 건설기계와 화물차의 업무영역을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업무영업에 대한 구분은 덤프를 비롯한 건설기계업계 전반의 요구사항이다. 그러나 각 이해단체의 엇갈린 입장으로 인해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용대 지부장은 “건설기계 차량은 차의 구조적 특성상 화물 목적의 적재물을 싣고 운행하는 게 쉽지 않고 개조나 변경도 어렵다”며 “건설기계와 화물의 업무영역 구분을 법제화해 서로 일자리를 침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부장은 “지자체가 건설기계를 잘 몰라 사실상 진개덤프에 대한 실질적인 단속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진개덤프가 허가된 용도로 쓰이고 있는지 지자체가 실효성 있는 단속을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