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제조현장에서 연쇄 화학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정부 관리·감독의 손길이 닿지 않는 소규모 사업장에서도 화학물질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10일 새벽 3시30분께 충북 청원군 오창과학산업단지 안경렌즈 제조업체에서 황 성분이 포함된 유독가스가 누출됐다. 이날 사고로 인근업체 직원 100여명이 두통과 구토증세를 호소하며 병원으로 후송돼 치료를 받았다. 나머지 직원들도 조업을 중단하고 대피했다.

사고 원인은 가스 여과장치가 작동을 멈추면서 유독가스가 중화과정 없이 외부로 누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유독가스 외부 유출은 3시간 정도 계속됐고 여과장치 수리작업은 이날 오전 6시께 완료됐다. 사고 현장을 조사한 충청북도 환경정책과 관계자는 “배출된 가스에는 이산화황과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등 3가지 유해물질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사고를 낸 안경렌즈 제조업체는 화학물질 취급량이 적어 유해화학물질 취급 업체로 등록되지 않은 상태다. 고용노동부의 유해·위험물질 공정안전관리(PSM) 점검대상 사업장에도 포함돼 있지 않다. 정부의 관리·감독이 미치지 않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다.

이달 5일에는 경기도 안산시 반월국가산업단지 소재 ㅅ전자업체와 ㅈ전자업체에서 염산 누출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건물에 입주한 ㅅ업체와 ㅈ업체 노동자 2명이 건물 옥상에 설치된 탱크에 보관 중인 염산을 보조탱크로 옮기던 중 염산 100리터가 누출돼 부상을 당했다. 이들은 호흡기와 피부화상을 입고 입원치료 중이다. 이들 업체 역시 규모가 영세하고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양이 적다는 이유로 지자체나 노동부로부터 관리·감독을 받지 않고 있다.

노동계는 총체적인 안전관리 부실 문제를 지적했다. 조기홍 한국노총 산업안전보건국장은 “우리나라 산업계 전체가 총체적인 안전보건관리 부실 상태에 빠져 있고, 정부의 부실한 관리·감독이 최악의 상황을 초래했다”며 “대통령이 직접 나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