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일하는 사서 노동자 3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고용불안과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노조 조직화가 시급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공공운수노조 관악·노원구립도서관분회와 권수정 서울시의원은 29일 오후 서울시의회 서소문별관에서 '서울시 구립도서관 노동실태와 개선방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김종진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 조사에 따르면 서울지역 전체 공공도서관은 167곳이다. 이 중 서울시 등이 직접운영하는 곳은 21곳(12.6%)에 불과하다. 94곳(56.3%)이 지방공기업이나 지자체 재단·법인이 공공위탁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52곳(31.1%)은 민간위탁으로 운영된다.

올해 6월 기준으로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일하는 사서는 1천640명이다. 그중 정규직은 1천46명(63.8%)이고 무기계약직은 167명(10.2%), 비정규직은 427명(26.0%)으로 조사됐다. 사서노동자의 81.5%는 여성이고, 평균 나이는 35.5세다.

김종진 부소장은 "위탁운영 특성상 비민주적 조직운영과 비전문적 조직·인사관리, 인권침해와 고용불안, 저임금, 부당대우 같은 갖가지 현상이 공공도서관에서 누적돼 발생하고 있다"며 "사서의 이해를 대변할 협회 같은 단체가 없는 탓에 일터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순응하거나 이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진단했다.

실제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사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4.5년으로 1년 미만 일하는 비율이 20.4%, 1년에서 3년 사이 일한 경우가 33.7%다. 이들 전체의 월 총액임금 평균은 229만원이다. 무기계약직은 231만원, 시간제·기간제 비정규직은 184만원을 받았다.

토론회에 참가한 당사자들은 비정규직 신분에 따른 고용불안과 일터에서 부당한 대우와 괴롭힘에 노출돼 있다고 호소했다. 노원구립도서관에서 일하는 안아무개씨는 "사서업무뿐만 아니라 강사 섭외·행사 동원·행정업무·도서관 프로그램 기획 등과 같은 업무를 강제로 할당받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용자에게 성희롱을 당하거나 폭언·폭행을 경험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노조 조직화를 통해 도서관 노동자의 노동조건 개선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삼영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공공서비스지부 조직부장은 "민간위탁 형태에서 업체가 변경될 때 노조가 없으면 퇴직금·승진 등을 승계받지 못하거나 고용불안이 발생해도 대응하지 못하기도 한다"며 "노조설립을 통해 고용불안과 저임금 감정노동자 보호 등 불합리한 조건을 바꿔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