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가동중단 사태가 잇따르면서 원전 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자 여당마저 관계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과 재발방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야권 일각에서는 원전 신규건설을 국민투표에 부치는 내용의 국회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고리1호기가 정지한 이후 6일 만에 한빛 3호기가 사고로 정지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에서 원전이 멈춰서는 것은 놀라운 일도 아니고 새로운 일도 아닌 게 돼 버렸다"고 비판했다.

이달 4일 전남 영광 한빛 3호기가 터빈발전기 고장으로 재가동 6개월 만에 또다시 가동이 정지됐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 지 1천일이 되는 날이었다.

이 최고위원은 "독점적 원전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슈퍼갑의 지위를 갖도록 방치하고 제대로 된 견제와 감시장치를 만들지 못한 것이 사고의 결정적 원인"이라며 6월 원전비리방지대책을 발표한 정홍원 국무총리를 향해 "야전침대를 갖다 놓는 한이 있더라도 직접 좀 챙겨 달라"고 요구했다.

같은 당 김기현 정책위의장은 "사고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한수원 관계회사와 책임자의 귀책사유를 면밀히 조사해 관련자를 엄중 문책해야 한다"며 "당도 국민의 불편과 희생을 가중시키는 관계당국의 행태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원전 사고에 대한 국민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정치권 일각에서는 원전 신규건설은 국민투표 등 국민의 의사를 묻고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장하나 민주당 의원은 "원전정책은 현재 국민뿐만 아니라 미래 국민의 건강·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가 운명에 관련된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원전 신규건설 추진과 수명연장 여부에 대한 공론조사와 국민투표 실시를 촉구하는 국회 결의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