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번 중집 수련회에 직선제를 유예하고, 7기 임원을 간선제로 선출하는 규약 개정안과 임원직선제 실시 및 조직민주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위원회(임원직선위원회) 신설안을 제출했다. 비대위가 제출한 안에는 직선제 유예기간이 못 박혀 있지 않지만 논의 과정에서 내년 12월까지 직선제 실시를 1년9개월 유예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비대위가 제출안에 포함된 임원직선위원회는 직선제 실시를 준비하는 기구다. 총연맹·가맹 산하조직 임원들과 임명직 위원이 참여한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직선제 시행을 책임 있게 준비하는 기구가 될 것"이라며 "민주노총 사무총국 직선제사업팀을 확대·발전시킨 형태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직선제 1년9개월 유예안과 임원직선위원회 설치가 중집안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민주노총의 또 다른 관계자는 "올해 4월 중 직선제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어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민주노총은 직선제 1년9개월 유예안과 올해 4월 실시안을 놓고 18일 중집을 열어 안건을 확정할 계획이다. 그동안 직선제 실시를 주장해 왔던 범좌파 의견그룹도 올해 중 실시는 어렵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직선제 1년9개월 유예와 임원직선위원회 설치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정기대의원대회에서 직선제 유예안이 상정·통과되면 2월 말에서 3월 초 사이에 간선제로 7기 임원선거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럴 경우 8기 임원선거는 2014년 12월 직선제로 치러진다.
하지만 갈등의 소지는 여전히 남아 있다. 김영훈 전 집행부 때부터 직선제 유예 시도를 규약위반이라고 지적해 온 좌파노동자회는 14일 오후 서울 정동 민주노총 앞에서 직선제 유예안 철회를 요구하는 항의 기자회견을 진행한 뒤 민주노총 점거농성에 돌입할 예정이다.
좌파노동자회 공동대표인 김동도 민주노총 제주본부장은 13일 <매일노동뉴스>와의 통화에서 "1년9개월 유예든 3년 유예든 직선제를 시행해야 하는 현 규약을 위반하는 것은 마찬가지"라며 "직선제를 준비해야 하는 비대위가 규약을 위반하면서까지 대의원대회에 직선제 유예안을 올리는 것은 대의원들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