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은 정치권력이 바뀌는 해다. 노·사·정 관계자와 노동전문가 100명이 주목한 '올해의 인물' 설문조사에서 앞으로 등장할 새로운 인물들이 나란히 1·2·3위를 차지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는 압도적인 표차로 올해 주목할 인물 1위에 뽑혔다. 67명이 선택했다. 2위를 세 배 격차로 따돌렸다. 2위는 앞으로 당선될 새 민주노총 위원장이었다. 24명이 선택했다. 신임 고용노동부 장관은 1표 적은 23표를 받아 3위에 올랐다.

4위는 박근혜 당선자와 끝까지 접전을 벌였던 문재인 전 대선후보(14표)였다. 5위는 신계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9표)이 차지했다.


1위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

 
대통령 당선자가 올해 주목할 인물 1위에 오른 것은 당연해 보인다. 한국 사회 전반을 바꿀 권력을 가졌기 때문이다. 박근혜 당선자는 노사정과 전문가그룹 모두에서 고르게 득표했다.

새 정부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우려도 없진 않았다. 노동시장 전문가는 "비정규직 문제야말로 노동문제의 핵심이자 경제민주화의 출발점"이라며 "비정규직 문제 해결 공약 실현 여부를 지켜보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박근혜 당선자는 청년실업·정리해고·비정규직 등 풀어야 할 많은 노동과제를 안고 있다"며 "슬기롭게 대처하지 못한다면 노동자들의 저항에 직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노총에서는 "(박 당선자의) 노동관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영계는 박 당선자의 노동정책과 다음 행보에 관심을 나타냈다. 대기업 인사담당자는 "노사관계와 고용정책을 포함해 국가 전반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닌 인물"이라며 “당선자로서 어떤 정책 방향을 제시할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는 "박 당선자의 성향과 정책방향에 따라 노동정책에 큰 변화가 예고된다"고 밝혔고, 또 다른 관계자는 "민생정부, 대통합국가 약속을 지켰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야당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야당 국회의원은 "정권 초반부터 보수정책 드라이브를 건다면 야권과의 대립이 심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학교수는 "새 정부는 새로운 발전(성장)모델과 하위체제로서 노동체제의 구상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기대감을 안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담당 기자는 "훌륭한 지도자는 나라를 바꾸지만 그렇지 않은 리더는 역사를 후퇴시킨다"며 대통령에게 나라를 이끄는 리더 역할을 주문했다.

민주노총 차기 위원장, 추락 혹은 재기의 발판

민주노총은 지난해 악운의 연속이었다. 통합진보당 부정선거 논란으로 10년 넘게 이어 왔던 진보정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라는 정치방침이 무너졌다. 노동정치 세력들은 저마다 길을 모색하기 위해 다양한 세력과 연대했고, 흩어졌다.

임원직선제 논란 끝에 김영훈 전 위원장이 사퇴했음에도 직선제 3년 유예를 결정한 대의원대회 부실관리 논란에 휩싸여 또 다른 비상대책위원회가 등장했다.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는 미뤄졌다.

차기 민주노총 위원장이 24표를 받아 올해 주목할 인물 2위에 올랐다. 노동계의 한 축을 대표하는 수장이라는 측면에서 기대를 모았다. 그런데 차기 민주노총을 선택한 상당수의 노사정 전문가들은 "민주노총이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던졌다.

노사관계 전문가는 "심각한 내홍과 조직력 하락으로 최대 위기에 놓인 민주노총의 수장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노동정치 지형이 상당히 변할 것"이라며 "민주노조운동의 성패를 좌우할 가장 핵심적인 인물"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노동문제 연구자는 "노사정 대화가 제안될 경우 민주노총의 선택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정부에서는 민주노총이 새 정부와 관계설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 많았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새 위원장이 조직을 정비하고 노동운동의 중심을 잡아 나가야 하는 시대적 사명을 안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부장관은 누구?

차기 노동부장관이 3위에 오른 이유는 박근혜 당선자가 1위로 선택된 이유와 비슷했다. 박 당선자의 국정철학을 고용노동 분야에서 어떤 방식으로 실현할지 신임 노동부장관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박 당선자가 일자리의 중요성을 설파하고 국민대통합을 이야기했던 만큼 이명박 정부와 비교해 고용노동정책의 방향이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그만큼 노동부장관에 예상치 못한 깜짝인물이 선임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한국노총 관계자는 "박 당선자의 국정철학을 고용노동정책으로 옮길 인물이기에 노동부장관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대학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노동정책은 지나치게 친기업적이었고 노동시장의 불평등을 악화시켰다"며 "양대 노총의 지도력이 약화했고 사용자는 노사관계 개선에 소극적이어서 노동부장관의 역할이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도 비슷한 진단을 내리면서 "이명박 정부와 어떻게 차별화할지 주목된다"고 입을 모았다.


문재인 전 후보, 야권 대표주자로 다음 행보 기대

 
문재인 전 대선후보의 다음 행보에 관심을 보인 응답자들도 있었다. 야권 대표주자로서 행보를 지속해야 한다는 주문이 많았다. 14표를 받아 4위에 올랐다. 민주노총의 한 관계자는 "범야권 대표로서 계속 활동해야 한다"고 주문했고, 한국노총의 한 관계자는 "새정치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정치쇄신을 이야기하면서 선거에 임했으나 끝내 낙선했다"며 "국민들이 새 정치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은 만큼 그의 다음 행보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비슷한 이유로 안철수 전 대선후보를 꼽은 이들도 있었다. 안 전 후보가 신당창당 등 야권의 정치개편에 미칠 영향에 관심을 보였다.




노동 관련 법·제도 개선은 어디까지

 
전문가들은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노동 관련 법·제도가 어떻게 바뀔지 주목했다. 현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돼 있는 고용노동 관련 법률만 60여건에 이른다. 비정규직 문제 해결이나 정년연장·일자리 확대·정리해고 요건 강화 등 여야가 원칙적이나마 공감대를 형성한 사안도 적지 않다. 신계륜 국회 환노위원장은 9표를 받아 5위를 했다. 노동계와 경영계는 "여소야대인 국회 환노위의 운영방향과 각종 법안 처리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인물"로 그를 꼽았다. 정부측 관계자는 "노동현안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법제화 과정에서 환노위원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한편 시민사회계에서는 신계륜 환노위원장에게 쌍용차 문제해결을 당부했다. 쌍용차 국정조사를 감안한 응답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