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민주노총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위원장·수석부위원장·사무총장을 선출하는 이번 선거에는 67만1천270명의 유권자가 참여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한다. 전국 사업장 2만여곳에 투표소가 설치되고, 2만5천여명의 선거관리인원이 투표소에 파견된다. 선관위에 따르면 현장투표 인원이 57만3천565명이고, ARS투표와 부재자 우편투표 대상자는 각각 9만6천188명과 1천517명이다. 공직선거를 제외하면 최대 규모다.
투표는 9일 오후 6시에 종료된다. 투표가 종료되는 즉시 전국 16개 지역본부 사무실에서 개표가 시작된다. 개표는 전자개표가 아닌 수개표 방식으로 이뤄진다. 재적 투표인 과반이 투표에 참여하고, 이 중 과반의 득표를 얻은 후보조가 당선된다. 투표참여자가 부족해 재적인원의 과반에 이르지 못하면 투표 자체가 무효가 된다. 첫 직선제의 성패가 투표율에 달린 셈이다.
투표참여자는 과반에 이르렀으나 투표자 과반 득표에 성공한 후보조가 없을 경우 1·2위 후보조를 대상으로 결선투표가 진행된다. 결선투표는 17일부터 23일까지 치러진다. 결선투표에서는 과반 투표율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투표자 과반의 표를 얻은 후보가 당선된다. 결선투표에 소요되는 비용은 민주노총 산하 산별연맹들이 분담한다.
이번 선거에는 4개 후보조가 출마했다. 기호 1번 정용건(50)-반명자(55)-이재웅(56) 후보조는 노동자와 민중이 함께하는 사회연대전략을 핵심공약으로 제시했다. 기호 2번 한상균(52)-최종진(56)-이영주(49) 후보조는 박근혜 정권을 상대로 한 즉각적인 총파업을 강조했다. 기호 3번 허영구(58)-김태인(47)-신현창(39) 후보조는 조직·재정혁신을 통한 비정규직 조직 확대를 약속했다. 기호 4번 전재환(53)-윤택근(49)-나순자(49) 후보조는 통합 지도력을 바탕으로 강한 민주노총을 건설하겠다고 공약했다.
한편 민주노총 선거를 앞두고 행정자치부가 지난 1일 각 시·도 자치단체와 학교현장에 ‘민주노총 임원선거 관련 청사시설 및 복무관리 협조’ 공문을 내려보내 논란이 되고 있다. 행자부는 “청사시설은 공적 목적을 위해 사용돼야 하므로 각급 기관장은 공무와 무관한 민주노총 선거행위에 청사시설이 사용되지 않도록 해 달라”고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정부의 노골적인 노조탄압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하겠다”고 반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