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한 공공부문 노동자들이 고용안정 만족도가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임금을 포함한 처우개선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고용노동부는 15일 정규직으로 전환한 공공부문 노동자 1천815명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공공기관 43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자의 만족도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진행됐다.

정규직으로 전환한 노동자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5점 만점에 3.93점이었다. 고용안정 만족도가 4.34점으로 가장 높았다.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89%가 “매우 그렇다” 또는 “그렇다”고 답했다. 정년까지 근무할 수 있는 가능성과 관련한 만족도는 4.15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전반적인 처우개선 만족도는 3.67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공공기관에 직접고용됐든, 자회사 고용방식으로 전환하든 고용불안은 벗어났지만 임금을 포함한 처우개선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뜻이다. “1년 안에 이직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72.7%는 “전혀 없다”고 답했다.

정규직 전환 뒤 임금수준은 연평균 2천783만원으로 비정규직일 때보다 391만원(16.3%)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이 되면서 명절상여금(52.8%)·복지 포인트(62.0%)·급식비(43.4%)를 새로 받았다.

전환 기관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수당을 포함한 월급이 정규직 전환 기간제는 16.9%, 정규직 전환 파견·용역은 15.6% 인상됐다.

조사를 진행한 오계택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혁신센터 소장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 취지는 먼저 고용을 안정시킨 뒤 노동조건을 개선하자는 것이었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처우개선 문제는 계속 불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 소장은 “처우개선 문제는 노사가 자율적으로 풀어 가야 한다”며 “공공기관이 모범 사용자의 모습을 보여 주면서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임금·직무 관리체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