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분기 100인 미만 사업장에서 이직·퇴직하거나 일자리 소멸로 실직한 노동자가 전체의 3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불안정한 일자리는 1천인 이상 기업에서는 16.4%였다. 일자리 안정성에서 양극화가 심각하다는 뜻이다.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일 통계청에서 받은 ‘2018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업체 일자리는 1천810만4천개로, 이 중 같은 노동자가 점유하고 있는 지속일자리는 67.7%, 퇴직이나 이직으로 노동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17.4%, 신규일자리는 14.9%였다. 기업체 소멸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일자리는 248만개다.

규모가 작을수록 불안정 일자리 비중이 높았다. 대체일자리나 소멸일자리를 불안정 일자리로 봤을 때 100인 미만 사업장의 불안정 일자리 비중은 30%를 훌쩍 넘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37.3%, 5인 이상 10인 미만 사업장은 36.8%, 10인 이상 30인 미만 사업은 31.5%를 기록했다. 30인 이상 100인 미만 기업은 32.3%였다. 100~300인, 300~500인 사업장도 각각 34.8%, 31.7%였다. 중소기업은 물론 중견기업의 일자리 셋 중 하나는 불안정 일자리라는 의미다.

반면 500인 이상 1천인 미만은 29.6%, 1천인 이상 사업장은 16.4%로 낮았다. 1천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지속일자리가 소멸된 일자리를 제외한 현재 일자리의 80.9%를 차지했다. 5인 미만 사업장은 그 비율이 59.9%에 불과했다. 10명 중 6명만 일자리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서형수 의원은 “일자리가 대규모 기업체에 상당수 몰려 있는 상황에서 이들의 일자리 안정성은 높은 반면 소규모 기업체는 그 반대로 나타나 일자리 양극화가 확인됐다”며 “중소규모 기업체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지원에 정책역량을 집중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여력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