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이석태) 단식농성에 노동·시민단체들의 동참이 잇따르고 있다. 이석태 위원장은 정부에 의해 강제로 종료 된 특별조사위 활동기간 보장을 요구하며 지난달 27일부터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간 바 있다.
지하철 비정규직 사망재해 해결과 안전사회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2일 오전 특별조사위 농성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월 구의역 사고 뒤 시민대책위는 사고원인 실체에 접근하고 올바른 대책 마련을 위해 서울시·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와 함께 진상조사단을 구성했다”며 “세월호 참사와 구의역 사고는 이윤과 효율보다 생명과 안전이 소중하다는 것을 우리 사회에 깨우쳐 줬다”고 밝혔다. 시민대책위는 이어 “박근혜 정부는 일주일째 곡기를 끊고 호소하는 특별조사위에 아무런 답변도 내주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시민대책위 공동대표인 권영국 변호사(민변)와 이상진 민주노총 부위원장이 동조단식을 했다.
전국교직원노조도 같은날 오전 같은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석태 위원장이 단식에 들어간 날인 지난달 27일은 특별조사위가 조사인력을 채용한 지 1년이 되는 날”이라며 “정부가 특별조사위 활동을 강제로 종료시킨 것은 명백한 위법”이라고 지적했다.
전교조는 “세월호 인양 후 제대로 조사하려면 4·16세월호참사 진상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세월호진상규명법)을 개정해 특별조사위 활동기간을 보장해야 한다”며 “국회는 특별조사위가 제출한 특별검사 요청안을 즉각 처리하라”고 촉구했다. 전교조 교사들은 특별조사위 지지 릴레이 단식농성에 돌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