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노조
금융권 노사의 올해 첫 산별중앙교섭이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의 불참으로 파행했다. 사측 불참으로 상견례가 열리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7일 금융노조(위원장 김문호)에 따르면 금융사용자협의회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회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교섭 상견례에 나타나지 않았다. 사용자측은 교섭형식을 문제 삼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문호 위원장과 35개 지부대표자들은 30분 동안 빈 의자를 앞에 두고 대기했다. 교섭이 무산된 뒤 노조는 기자회견을 열어 "교섭요구를 거부하는 것은 부당노동행위"라며 "산별교섭 파행의 책임은 금융위원회와 사측에 있다"고 비난했다.

교섭 파행은 지난달 30일 7개 금융공기업이 사용자협의회를 집단 탈퇴하면서 사실상 예고됐다. 노조는 같은달 24일 교섭요구안을 확정해 사용자측에 전달하면서 이달 7일 34개 회원사가 참여하는 1차 교섭을 갖자고 요구했다. 그동안 "성과주의 문화 확산을 위한 노사 TF에 금융노조가 불참하고 있다"는 사용자측의 여론전이 거듭되자 "TF가 아닌 교섭 자리에서 얘기하라"며 맞불을 놓은 것이다.

그런 가운데 금융공기업인 산업은행·기업은행·수출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가 사용자협의회 탈퇴를 선택했다. 탈퇴 과정에서 금융위로부터 압력을 받은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사용자협의회는 "집단교섭은 교섭비용 감축이라는 사용자협의회 설립취지에 맞지 않고, 이미 탈퇴한 회원사들의 참석 여부는 우리 권한 밖"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최근 산별교섭 파행이 정부의 기획에 따른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문호 위원장은 "금융위 금융정책국장이 금융공기업 임원들을 소집해 사용자단체 탈퇴를 지시한 다음날 금융공기업들의 탈퇴가 이뤄졌다"며 "공무원이 산별노조 파괴를 시도한 초유의 반헌법적인 노동탄압이자 직권남용·부당노동행위"라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강박에 의해 이뤄진 금융공기업의 사용자협의회 탈퇴는 원천 무효"라고 말했다.

노조는 17일을 교섭날짜를 정해 사용자협의회에 통보할 방침이다. 전망은 밝지 않다. 사용자협의회 관계자는 "탈퇴한 회원사까지 참석하라는 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하루라도 빨리 교섭대표단을 뽑고, 일정을 잡아서 관행대로 교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