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에서 일하는 노동자 중 36.3%는 비정규직이고,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중이 직접고용 비정규직의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가 9일 고용노동부의 ‘2014년 고용형태 공시’ 내용을 재분석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10대 그룹사 소속 노동자 119만6천명 가운데 비정규직은 43만4천명(36.3%)이다. 직접고용 비정규직은 7만3천명(6.1%), 간접고용 비정규직은 36만1천명(30.2%)이다.

그룹별 비정규직 비중은 현대중공업(62.8%)이 가장 높고, 포스코(52.2%)·롯데(50.6%)·GS(46.4%)·삼성(35.6%)·현대자동차(33.8%)·SK(29.3%)·한진(28.8%)·한화(24.1%)·LG(16.5%) 순으로 집계됐다. 비정규 노동자는 삼성(12만9천명)이 가장 많고, 현대차(7만2천명)·현대중(6만4천명)·롯데(3만8천명)·포스코(3만7천명)·SK(2만7천명)·LG(2만6천명)·GS(1만9천명)·한진(1만2천명)·한화(1만명)가 뒤를 이었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간접고용 노동자 비중이 컸다. 올해 고용형태 공시대상인 300인 이상 기업 2천941곳 중 20대 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중은 평균 13.8%였다. 반면 10대 그룹 계열사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중이 30.2%, 20대 그룹 계열사의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중은 31%로 높았다.

김유선 선임연구위원은 “2009년 288조원이었던 10대 그룹의 사내유보금이 지난해 522조원으로 증가했지만, 정작 비정규직 확산에 따른 국민의 소비여력 상실로 기업들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고 있다”며 “그 결과 10대 그룹의 실물투자액은 2009년 26조원에서 지난해 7조원으로 무려 75%나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저임금 비정규직을 늘린 기업들의 경영관행이 경제의 선순환을 가로막고 있다는 뜻이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재벌기업의 상당수 간접고용 일자리는 상시·지속적인 일자리인데도 불법파견 같은 왜곡된 고용형태가 만연한 상황”이라며 “소득주도 성장정책은 재벌기업 간접고용 노동자의 직접고용과 처우개선에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