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앤앰 경영악화와 직장폐쇄 사태의 근원은 씨앤앰 인수를 위해 무리하게 차입금을 끌어들여 재무적 위기를 초래한 대주주(맥쿼리와 MBK파트너스)에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동원 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팀장은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방송통신 정상화와 공공성 확대를 위한 제안-투기자본 씨앤앰과 방송플랫폼의 공공성 위기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토론회는 언론개혁시민연대와 케이블방송통신공동대책위원회 등이 주최하고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등이 주관했다. 김 팀장이 발제를 맡고 이대순 투기자본감시센터 공동대표, 안영신 성북아동청소년네트워크대표, 주영호 M&C파트너 대표, 홍종윤 서울대 연구교수, 이영미 미래부 뉴미디어정책과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김 팀장은 "2008년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와 MBK파트너스를 주축으로 하는 사모펀드 국민유선방송투자(KCI)의 씨앤앰 인수비용 2조1천200억원 중 73%인 1조5천660억원이 은행 차입금이었고 매년 이자비용만 1천억원이었다"며 "수익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단기이익을 위한 요금인상이나 외주화를 추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KCI는 씨앤앰에 이어 강남GS와 울산방송까지 인수하면서 총 2조4천500억원을 썼는데, 이 중 1조8천억원이 은행 차입금이었다. 이로 인해 씨앤앰의 이자비용과 주주배당금이 올라갔다.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씨앤앰은 영업이익의 53.2%인 2천557억원을 이자비용으로, 당기순이익의 81.6%인 1천344억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했다.

배당금을 받아 간 KCI마저도 같은 기간 동안 4천280억원을 이자비용으로 지급해야 했다. 누적 당기순손실이 4천606억원에 달했다. 차입금을 리파이낸싱(대출금리 인하를 위해 받는 재융자)하면서 채권단에 의해 재산권 행사가 통제되고 기업의 시장가치가 더욱 하락했다.

김 팀장은 "상황이 악화된 회사가 기술투자보다 영업전략에 치중하면서 협력업체 노동자는 노동조건 하락을, 시청자는 소비자 권리침해와 서비스 질 하락 등의 피해를 입게 됐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씨앤앰 사태는 금융자본의 핵심인 채권-채무관계에 종속된 방송산업의 문제"라며 "방송통신위원회·미래창조과학부의 직권중재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재허가 및 방송평가 심사 강화, 시청자 개입과 권리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