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18일 오전 서울 금천구 르노삼성자동차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희롱 피해를 제기하는 노동자와 조력자가 조직적인 불이익과 폭력을 겪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양대 노총·한국여성민우회 등 14개 단체와 한명숙·김상희·남윤인순 민주당 의원이 함께했다.
이들은 △피해자와 동료에 대한 보복조치 중단 △피해자의 정신적·신체적 피해보상과 명예회복 △르노삼성자동차의 성희롱 및 성차별적 조직문화 점검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들에 따르면 성희롱 피해자인 직원 ㄱ씨는 2012년 4월부터 1년여 동안 상사로부터 지속적인 성희롱에 시달리다 지난해 3월 성희롱 피해사실을 회사측에 알렸다. 가해자인 상사 B씨는 보직해임과 정직처분을 받았다. 이후 회사는 피해자인 ㄱ씨에게 사직을 종용했다. ㄱ씨는 회사 내에서 악의적인 소문에 시달렸고, 동료들로부터 집단 따돌림을 당했다. ㄱ씨와 조력자는 현재 자택 대기발령 상태다.
이날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성희롱 피해자와 동료를 몰아내기 위해 회사는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불이익을 주고 있다”며 “피해자가 치졸하고 악랄한 방법으로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여성민우회 등 6개 여성·시민단체는 이달 10일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상 직장내 성희롱 피해자 불이익 금지 위반 혐의로 고용노동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