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도급 의혹을 받고 있는 삼성전자서비스가 적어도 2005년께부터 경영혁신 일환으로 협력회사 직원들의 급여제도·직급제도·평가제도 등을 변경해 왔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성전자서비스가 폐기했다고 밝힌 통합관리시스템이 이름만 '신e-zone'으로 바뀌어 여전히 협력업체를 지배·관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는 정황도 제시됐다.

삼성전자서비스의 불법고용 근절 및 근로기준법 준수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와 은수미 민주당 의원은 6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삼성전자서비스 간접고용 관련 추가사실을 공개했다.

공대위 류하영 변호사(민변 노동위원회)는 "삼성전자서비스가 2005년 작성한 '서비스 패러다임의 전환' 문서에 따르면 협력회사 직원의 급여제도와 직급체계 등을 직접 수립한 것으로 나와 있다"며 "공대위가 최근 버전의 통합관리시스템 운영 현황을 확인한 결과 기존 버전을 웹버전용으로만 바꿨을 뿐 협력업체 직원의 사원번호와 연락처·직책 등을 그대로 관리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가 삼성전자서비스의 파견법 위반 여부에 대한 수시근로감독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서비스와 협력업체들이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지회장 위영일) 조합원들을 상대로 노조활동 방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최정명 금속노조 부위원장은 "노조활동을 방해하기 위해 본사에서 대규모 대체인력을 투입해 조합원들을 위축시키는 모습이 전국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하지만 협력회사와 삼성전자서비스의 각종 방해에도 지난달 14일 400여명에서 출발한 지회에 현재 조합원 1천300여명이 가입한 상태"라고 말했다.

위영일 지회장은 "8월 말까지 2천명의 조합원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 이달 중순 근로자지위 확인 2차 집단소송을 벌일 것"이라며 "실질적 노동조건 결정권자인 삼성전자서비스를 상대로 교섭참여를 촉구하는 등 지속적인 싸움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