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가 보편적 복지 확대를 위한 공공성 강화와 생활임금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내용의 토론회를 잇따라 개최한다.

참여연대는 15일 “다양한 복지요구가 확대되면서 사회복지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라면서 “비용지원과 민간시장 의존 복지서비스 확대는 서비스 질에 대한 공적 통제가 원활하지 못하고 투자 대비 효과가 낮은 등 다양한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오는 23일 ‘보편적 복지 확대를 위한 공공성 강화 방안 토론회’를 열고 공공성 확대에 대한 원칙과 방향 설정, 미취학 아동·취학아동·장기요양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성 확대 과제를 모색한다. 참여연대는 이어 30일 ‘생활임금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한국의 적용 가능성 토론회’를 개최한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한국의 최저임금은 노동자 평균임금의 3분의 1 수준으로 노동자 소득수준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많다”며 “서구에서는 임금 양극화·소득격차 해소를 위해 생활임금운동·생활임금 조례제정 등의 활동이 벌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