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민주노총과 4·16가족협의회·참여연대 등은 세월호 참사 3주기를 추모하고 안전한 일터 만들기를 모색하는 토론회를 13일 개최한다. 이날 토론회에는 주요 대선캠프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생명·안전 관련 정책을 공약에 포함할지에 대한 의견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토론회 뒤에는 대선후보들과 함께 대국민 서약식을 한다. 서약에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겠다는 내용이 담긴다.
민주노총은 매년 4월을 '노동자 건강권 쟁취 투쟁의 달'로 정하고 산업재해로 숨진 노동자를 추모하고 제도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대선을 앞둔 올해는 위험의 외주화 금지와 (가칭)중대재해 기업처벌법 제정을 의제화하는 활동에 나선다.
한 달 동안 민주노총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산재 희생자를 추모하는 리본달기 운동을 하고, 단위사업장 노조는 현수막을 공장 안팎에 건다. 이달 10일부터 16일까지를 세월호 참사 3주기 사업 주간으로 정하고 산재사망 사진전, 중대재해 기업처벌법 입법 요구 기자회견을 전국에서 개최한다.
26일에는 양대 노총과 안전보건단체들이 참여하는 '2017년 최악의 살인기업 선정식'을 한다. 같은날 서울에서 안전업무 외주화 주범으로 꼽히는 재벌을 규탄하는 결의대회를 연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메틸알코올(메탄올) 중독·구의역 참사·에어컨 수리노동자 추락사망·현대중공업 하청노동자 사망을 비롯해 수많은 노동자가 일터에서 산재로 죽거나 다쳤다"며 "촛불시민혁명이 생명과 안전이 존중되는 일터와 사회개혁으로 이어지도록 앞장서 싸우는 4월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