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과 무소속 등 야당 국회의원 43명이 박근혜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다. 야당 의원들이 대통령 퇴진을 위한 공동행동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더불어민주당 기동민·김상희·김영진·김한정·김현권·남인순·박주민·박홍근·설훈·소병훈·송영길·신동근·안민석·오영훈·우원식·위성곤·유승희·유은혜·이상민·이언주·이인영·인재근·정재호·제윤경·홍익표 의원(25명)과 국민의당 김광수·송기석·윤영일·이동섭·이상돈·이용주·정동영·채이배·최경환·최도자 의원(10명), 정의당 김종대·노회찬·심상정·윤소하·이정미·추혜선 의원(6명), 무소속 김종훈·윤종오 의원(2명) 등 야당 의원 43명은 1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대통령 퇴진 촉구를 위한 국회의원 대토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질서 있는 하야만이 국정공백 막는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의원들이 자유롭게 의사표명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심상정 정의당 상임대표는 “국민은 대통령과 국무총리 사이 권한조정이 아니라 통치 능력을 상실한 박근혜 대통령이 물러나라고 단호히 요구하고 있다”며 “박 대통령과 함께하는 동거내각이 아니라 야당이 책임 있게 나서 대통령을 퇴진시키는 과도내각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질서 있는 하야 프로그램이 관철되도록 야당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한반도가 격랑 속으로 빠져들게 된 만큼 박근혜 대통령 하야와 신속한 체제 정비가 요구된다는 주장도 나왔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트럼프는 대선에서 북핵문제가 나왔을 때 북한폭격을 주장했다”며 “1994년 위기를 경험한 만큼 트럼프의 급격한 한반도 정책 변경으로 우리 민족에 어떤 문제가 발생해도 대응할 수 있는 새 대통령이 나오도록 박 대통령은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종훈 무소속 의원은 “국민이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고 있는데 야당이 어정쩡한 모습을 보이면 야당도 심판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며 “대통령 하야에 동의하는 야당·시민·국민행동이 민주적 내각을 구성해 조기대선으로 국정을 안정화시키자”고 주장했다.
“박 대통령 퇴진과 민주공화국 회복” 결의안 채택
박 대통령 하야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정동영 국민의당 의원은 “우리는 이미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하고 허정 과도내각을 출범시킨 경험을 갖고 있다”며 “이승만 대통령의 부정선거 행위에 비해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농단 행위가 더 심하면 심했지 덜하다고 할 수 없는 만큼 대통령은 하야를 선언하고 과도내각이 조기대선을 이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 야당이 탄핵소추안을 발의할 수 있는 3분의 2를 넘어서는 상황"이라며 "대통령 하야를 결단하지 없으면 탄핵소추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박 대통령이 더 이상 국정수행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국정공백과 혼란을 최소화하면서 다음 정부로의 이관 수순을 밟아 가는 게 중요하다”며 “비상시국 국회의원회의를 구성해 대통령 퇴진을 전제로 한 사태수습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대통령이 헌법을 훼손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탄핵소추 대상이라고 말한 셈”이라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에 부역한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를 제외한 야 3당과 여당 비박계, 무소속 의원이 힘을 합쳐 대통령에게 하야하라고 최후통첩을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43명의 의원들은 “헌정의 한 축인 대통령이 권력의 정통성과 정당성을 상실하고 무너진 상태에서 헌정의 다른 축인 국회가 질서 있게 권력을 교체해 민주헌정을 회복해야 한다”며 “국민과 함께 박 대통령 퇴진을 반드시 이뤄 내고 민주공화국을 재건하자”는 내용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이들은 12일 민중총궐기에 참여하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