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이 지난 15일 노사정 합의문에 서명한 후 처음으로 담화문이라는 형식을 빌려 공개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김 위원장은 24일 발표한 담화문을 통해 합의 과정과 이유를 설명했다. "내용이 미흡하다"며 공식 사과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을 저지하는 한편 청년 고용확대·비정규직 차별철폐·사회안전망 강화 같은 문제를 풀어 내겠다는 각오로 노사정 협상에 임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의 결과물은 동지들의 열정과 기대를 채워 내기에는 너무나 많이 부족하고 모자란 것이 사실”이라며 “한국노총 대표자로서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노사정 합의에 이르게 된 이유에 대해 그는 “청년일자리를 앞세운 정부와 보수언론의 압박에 이 협상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벌어지고 있음을 절실하게 느꼈다”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오랜 고민 끝에 정부 정책을 원천 무효화시킬 수 없다면 일방적인 강행이라도 우선 막아 내야겠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정부·여당과 청와대까지 나서 13일까지 합의하지 않으면 일반해고 가이드라인과 취업규칙 지침을 강행하겠다고 밝힌 상태여서 불가피하게 합의할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한국노총은 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악에 맞서 총파업 찬반투표와 전국노동자대회, 47일간의 천막농성을 전개하면서 싸웠다”며 “이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노사정 합의 후 정부·여당이 합의정신을 명백히 훼손·위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이 기간제 사용기간 4년 연장안을 포함한 노동개혁 5대 법안을 발의하고 정부가 일반해고·취업규칙 지침을 연내에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을 "합의 위반"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비록 일반해고·취업규칙을 원천 무효화시키지는 못했지만 여전히 싸움은 진행형”이라며 “청년·비정규직을 포함한 전체 노동자의 일자리 문제 해결, 차별해소와 노동기본권 보장, 경제민주화를 통한 실질적인 양극화 해소를 위해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